본 연구는 한국창작무용 <샤먼>을 안무자의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해석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무용작품의 의미와 본질적 가치에 대한 분석과 통찰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나의 삶이나 업적, 직업 등에 대한 사회와 문화적 관계를 자신의 생애사를 성찰하면서 직접 구술하고 논의하여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질적 연구방법론이다. 무용학에 있어서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론의 활용은 안무자가 공연장에서 작품을 통해서 다 보여주지 못하는 이야기를 상세히 살펴볼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자이자 연구대상이기도 한 안무자의 작품 <샤먼>을 분석한 결과 안무자는 프로그램 상에는 밝히지 않았지만 ‘세월호’로 인해 희생된 생명들을 추모하기 위한 마음으로 만든 작품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은 안무자가 춤과 그 외의 장치들을 통해 전달하려고 했던 내용으로 관객들은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받고 소통하였음을 후기를 통해서 밝혔다. 한편 안무자의 춤 적인 삶에 공교롭게도 어린 시절부터 무속 춤을 춘 경험이 다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경험은 의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무의식중에 <샤먼> 작품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안무자의 성장과정에는 전통춤의 세계화에 대한 가치관을 심어준 스승으로 최현과 정승희, 배정혜 선생의 춤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점이 <샤먼> 작품에서는 한국적이며 정통적인 면을 살리면서도 현대적 감각과 체계적 구성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analysis and insight into the meaning and essential value of the dance work by describing the Korean creative dance "Shaman" in an interpretative manner through the choreographer's own cultural technology journal. The method of research of self-cultivated technology journal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which the researcher directly narrates and discusses the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 of my life, achievement, occupation, etc. while reflecting on my life history and thus produces new results. In dance studies, the use of self-cultivated technology journal research methodology has the advantage of taking a closer look at the stories that the choreographer cannot show through his work. An analysis of the choreographer's work, "Shaman," which is also a researcher and subjec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work was made in memory of the lives of the victims of " Ferry Sewol It also revealed in a review that the audience received and communicated the message, which the choreographer tried to convey through dance and other devices. On the other hand, coincidentally, I could see that there were many experiences of shamanic dancing since childhood, and that this experience might have been unconsciously reflected in the work of "Shaman," even though it was not intended. Finally, the choreographer's growth process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dances of Choi Hyun and Jung Seung-hee and Bae Jung-hye, who instilled values for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dance, and this was revealed in the works of "Shaman" in modern sense and systematic com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Korean and orthodox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