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하타요가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Hata Yoga
박은지 ( Park Eun-ji )
UCI I410-ECN-0102-2021-600-001115768

본 연구의 목적은 하타 요가 수련이 여고생의 생리적 변인과 중년 여성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하타요가 수행이 체력요인, 비만지표, 스트레스호르몬(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측정은 경남 사천시 00여고 51명과 경남 S요가 센터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여자고등학생들의 요가운동이 비만지표와 스트레스호르몬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체력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요가운동이 SRSI를 통한 이완 및 스트레스 경감에서는 큰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하타요가를 통해 여고생들의 경우 생리적으로 혈청지질과 체력에, 성인여성의 경우 정신건강과 관련된 이완 및 스트레스척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tta Yoga training on the physiological variables of high school girls an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middle-aged wome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tested whether Hatayo yoga performanc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fitness factors, obesity indicators, and stress hormones. Measurements were made at 51 girls at 00 girls' high schools in Sacheon, Gyeongnam and 125 people at S Yoga Center in Gyeongnam. As a result of the study, yoga exercise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obesity indicators and stress hormones, an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fitness. In addition, the yoga exercise of middle-aged women showed a great effect on relaxation and stress reduction through SRSI. Therefore, through Hata Yoga, it can be said that high school girls will have positive changes in their serum lipid and physical strength, and in adult women, relaxation and stress measures related to mental health.

Ⅰ. 서론
Ⅱ. 하타 요가의 체계와 수행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