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5.209.64
3.135.209.64
close menu
}
물인프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분야의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방안
강부식
UCI I410-ECN-0102-2021-300-001114328

기반시설관리법이 제정되면서 노후 SOC 유지관리를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수립 및 유지보수 재원마련, 그리고 노후시설물의 전 주기적 관리를 위한 사후 서비스 플랫폼 구축이 시급한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 주기적 관리를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점검 항목별 계측센서, 원격이동장비,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통신, 빅데이터 수집 및 관리,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해석, 시설물 3D모델링, 디지털 트위닝 등 스마트 기반기술의 확보가 현 시점에서 매우 긴요한 사안이다. 중점추진 분야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분류하되 플랫폼 분야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스마트센싱/초지능/초융합/통합플랫폼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센싱 기반 물인프라 모니터링 기술」 분야, 「초연결 Big Data 기반 AI 분석기술」 분야, 「초융합 CPS 기반 물인프라 유지관리 통합기술」 분야, 「물인프라 안전진단/유지관리 통합플랫폼 구축 기술」 분야 등 4개의 중점분야에 걸쳐 13개의 요소기술과 4개의 고도화 기술이 도출되었다.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은 개발주기가 매우 빠른 특징을 갖고 있어 목표연도를 3-5년 정도 중ㆍ단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시된 기술 중 범용적으로 개발이 완료되어 물인프라 관리 서비스플랫폼 구축을 위해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들은 요소기술,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에 특화된 원천기술은 고도화 기술로 제시되어 있다. 향후 개발과 현장의견을 반영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차세대 물인프라 관리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이를 통한 물인프라의 원격ㆍ지능형 안전진단과 유지관리가 효과적으로 가능해 질 것이다.

Ⅰ. 연구배경
Ⅱ. 물인프라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문제점
Ⅲ. 물인프라 관리분야 스마트 기술 동향
Ⅳ. 물인프라 안전진단/유지관리 분야 스마트 서비스 플랫폼 구축 로드맵(안)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