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91.135.39
18.191.135.39
close menu
}
녹조관리 위한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사례 및 시사점 - 농업 및 축산 비점오염원 중심 -
김이형
UCI I410-ECN-0102-2021-300-001114262

국내 4대강 주요 지점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개선되고 있으나 유역 비점오염원에서 기인한 난분해성 유기물질, 질산성질소(NO3-N)와 용존질소(DTN) 등의 함량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업활동이 시작되는 봄∼여름 사이에 하천의 질소농도가 상승하는데 이는 농업지역으로부터 발생한 기저유출과 여름∼가을 강우기에 유입된 유기질소의 분해로 인한 영향이다. 질산성질소는 농업지역 경작지의 토양 내 과잉양분 및 축산지역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주로 배출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녹조발생의 주요인자로 여겨지고 있다. 선진국의 농업 비점오염 관리정책은 기후변화, 환경(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오염)을 고려하면서 농업소득을 보전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추진 중이다. 특히 농업 비점오염이 축산 비점오염과 연계되어 있기에 지역특성과 사육방식을 반영하는 가축분뇨 관리기법 적용, 농지 최적 살포량, 작물별 살포방안, 자연기반해법(NBS)에 근거를 둔 최적관리방안(BMPs) 적용 등의 다양한 정책적 및 기술적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농업 및 축산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 및 녹조발생 저감을 위해서는 축사와 경작지의 오염원 관리(source control), 현장관리(site control), 배수구역 규모의 지역관리(regional control) 등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중요한 정책 및 기술로는 농지 및 수계 환경용량을 고려하는 축산 및 농업 비료관리, 농업 BMPs 확대적용, NBS 기반 블루-그린 연계 수변생태벨트(Blue-Green-Network Ecobelt), 세천과 연결된 국토 하천구조를 고려하는 축산정책 도입, 밭 경작지 토양유실 저감기법 등이 필요하다. 또한 주민참여 오염원관리 프로그램, 상호의무와 연계되는 주민지원 프로그램, 주민 소득 연계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등의 다각적 적용도 필요하다.

Ⅰ. 서론
Ⅱ. 영양염류 기원 유역 토지이용 변화 및 물환경 현황
Ⅲ. 유역 농축산 비점오염원의 물환경 영향
Ⅳ.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사례 및 관리방안
Ⅴ. 시사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