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한국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통하여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 빈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들의 차별피해경험은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가장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인권에 대한 의식 등 청소년 개인 특성, 부모로부터의 폭력피해경험, 방임 등 부모특성, 사이버환경에서의 폭력피해경험 등 또래 및 학교환경 특성이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 해소를 위해서 사회전반적인 차별문화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가정 및 학교, 사이버환경에서 경험하는 차별, 폭력피해를 줄이려는 노력이 다문화청소년들에 대한 차별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influence non-multicultural youth’s experience of discriminatory harmful acts on a minority of multicultural youth. For this, the study analyze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discriminatory acts on multicultural youth, through multinomial logit analysis by using The Survey on Rights of the Children and Youths(2015)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youth’s discriminatory victim experience appeared as the primary fact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youth’s discriminatory acts on multicultural youth. Next, peer and schoo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youth’s personal characteristics like gender and human right awareness, violence victim experience by parents, parents’ characteristics like negligence, and violence victim experience in cyber environment appeared as factors influencing discriminatory acts on multicultural you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scriminatory culture of society as a whole should be reduced first to resolve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youth. In addition, reducing discrimination and violence on youth in family, school and cyber environment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preventing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y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