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7.11.168
18.217.11.168
close menu
}
KCI 등재
대학생 자기교육역량 모형 개발 : 가다머의 자기교육(self-education) 개념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Education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self-education of Gadamer
홍수진 ( Hong Sujin ) , 이예다나 ( Lee Yedana ) , 박지현 ( Park Jihyun )
교육문화연구 26권 3호 413-436(24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22746

본 연구는 Gadamer의 자기교육 개념을 토대로 자기교육역량을 구성하는 요인을 도출하여 대학생 자기교육역량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교육 및 역량을 중심으로 문헌분석과 내용분석법을 통해 자기교육역량 초기 모형을 개발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역량 모형을 수정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교육역량은 한 개인이 자기성장의 전 과정에서 주도적 자기 구성, 지속적인 배움 설계, 객관적 성찰 실천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함으로써 새롭고 창조적인 자신을 형성해 나아가는 데 필요한 총체적인 능력으로 정의된다. 둘째, 자기교육역량은 주도적 자기구성, 지속적 배움 설계, 객관적 성찰 실천의 세 가지 속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속성들은 ‘주도성’, ‘지속성’, ‘객관성’의 3개 핵심가치로 설명된다. 셋째, 자기교육역량은 자기교육인식, 자기교육실천, 자기교육성찰로 구성되며 하위역량은 삶과 배움에 대한 가치 탐색, 자신과 학습에 대한 인식, 주도적 개발과 실행, 전략적 설계와 혁신, 협력적 문제해결과 촉진, 반성적 사고와 개선, 자기형성과 평가로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자기교육역량 모형은 3개 핵심가치, 3개 구성요인, 7개 하위역량으로 요약된다. 대학생 자기교육역량 모형은 자기교육역량이 변화가능하고 함양될 수 있는 역량으로서 그 개념이 명시적으로 통용되게 하며 이를 통해 대학이 자기교육역량을 진작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경험을 설계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Education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oncept, construct and sub-components in self-education competency. To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ese methods: literature review, content analysis, and expert's advise. Based on self-education concepts of Gadamer, we newly defined construct and sub-domains for Self-education competency and validated them through the expert's advis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truct of self-education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might be composed of three sub-constructs: ①Cognition in self-education, ②Practice in self-education, ③ Reflection in self-education. After finalizing seven sub-components, which are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learning, Self awareness and Awareness of learning, Self-development and Implementing, Strategic design and Innovati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Facilitation, Reflective thinking and Improvement, Self-formation and Evaluation, we defined a concept for each sub-components. In conclusion, Self-Education Competency Model is meaningful in order to provide on primary data to educate college students for strengthening self-education competency. Also,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elf-education competency.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