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적용해 본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1)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인식, 교육과정 재구성 및 교수·학습 방법에 중점을 둔 현장 적용 경험, 지원 요구 등을 살펴보고, (2)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지원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배치환경(특수학교·특수학급)과 학교급(유·초·중·고)에 재직 중인 서울, 인천, 경기, 충남, 경북, 전북 지역의 특수교사 18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방법은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포커스그룹 면담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기대, 핵심역량 및 성취도의 변화,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 교육과정 재구성 실태 및 어려움,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적용 사례 및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적용의 어려움, 효과적인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지원요구 등에 관한 의견들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교실 적용을 위한 지원방안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classroom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focusing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2) to seek support pla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a total of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various school placement environments(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and school levels(preschoo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 focus group interview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implemented.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terests and expectations for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linkages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effective application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examples and difficulties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pplications, and requests for support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support plans and policy suggestions for effective classroom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