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교육주체 및 국내·외 교육전문가의 FGI를 통한 미래교육 방향 탐색
Exploring the Future Education Direction through FGI of Subjective Existences of Education and Domestic·Foreign Educational Experts
이영희 ( Lee Young Hee ) , 윤지현 ( Yoon Jihyun )
UCI I410-ECN-0102-2021-300-001122635

이 연구는 신분상승 및 학벌주의 교육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 있는 우리 교육의 본질적 타당성 및 적합성 회복을 위하여,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한계점 및 장애의 원인을 진단하고, 미래교육을 위한 비전 및 철학, 미래교육에서 요구되는 역량, 교육개혁의 추진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학부모 단체, 시민 단체, 과학기술자, 그리고 국내·외 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2018년 2월에 총 5회에 걸쳐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한계 및 장애 요인으로서, ‘입시 위주의 교육’, ‘사회 개혁과 유리된 분절적 교육개혁’, ‘교육현장을 배제한 관 주도의 교육개혁’이 조사되었다. 미래교육의 비전 및 철학으로서, ‘인간 존중 교육’과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교육’이 강조되었다. 미래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역량으로는 ‘창의성 및 문제해결 역량’, ‘공감 및 의사소통 역량’, ‘평생학습 역량’이 조사되었고, 미래교육의 정책 추진 전략으로는 ‘미래 비전의 공유 및 합의’, ‘교원양성 방안 개편’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mitations of educational reform and the causes of disability in Korea and also explored the vision and philosophy for future education,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future education,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f educational reform in order to restore the essential relevance and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which was placed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the social status and academ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5 times in February 2018 with parent organizations, civic groups, science and technologists, a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educational expert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limitations and obstacles of educational reform in Korea were 'entrance-centered education', 'segmental education reform without social reform', and 'government-led educational reform that excludes educational fields'. And as vision and philosophy of future education, 'human respect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living together' were emphasized. The competencies to be emphasized in future education wer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mpathy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future education included 'sharing and consensus of future vision' and 'reforming teacher education system'.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