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22.42.216
3.22.42.216
close menu
}
KCI 등재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활용하여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Process-Based Assessment: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김은라 ( Kim Eun-ra ) , 박재국 ( Park Jae-kook ) , 백지혜 ( Baek Ji-hye ) , 김상미 ( Kim Sang-mi )
UCI I410-ECN-0102-2021-300-001121810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탐색하고 IPA 분석을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특수교사에게 지원해야 할 과정중심평가의 영역과 항목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IPA 매트릭스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하위 영역과 세부 문항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특수교사의 연령, 경력, 학교급, 그리고 적용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따라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거나 지원을 유지해야 되는 영역은 ‘성취기준 분석 및 평가계획 수립’, ‘과정중심평가 과제 개발’, 그리고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 등 3개, 세부 항목은 총 18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과정중심평가가 가지는 목적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교과별 학습 내용에 따른 교수·학습의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지식 등 특수교사가 과정중심평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process-based assessment and the needs of teachers for supporting process-based assessment by using IPA analysis. Method: 21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cess-based assess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PA matrix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evel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cess-based assessment.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eachers’ age, period of career, grade, and curriculum. Second, 3 domains, ‘establishing achievement criteria and assessment plan’, ‘developing process-based assessment task’, and ‘feedback and results recording’, and 18 items to be supported continuall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facilitate use of process-based assessment such as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and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teach and learn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learning content we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과정중심평가의 세부 항목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