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52.14.127.77
52.14.127.77
close menu
}
KCI 후보
행정심판과 재결취소소송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appeals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황창근 ( Hwang¸ Chang-geun )
연세법학 35권 49-80(32pages)
DOI 10.33606/YLA.35.3
UCI I410-ECN-0102-2021-300-001121754

이 글의 목적은 재결취소소송을 소재로 하여,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는 헌법 제17조 제3항의 전심절차, 행정소송법 제18조의 전치주의, 제19조의 재결취소소송 규정이 있다.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관계에 대하여는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있었지만, 이 논문은 재결취소소송을 글감으로 하여 행정심판의 기능의 관점에서 검토하려고 한다. 최근 행정심판의 권리구제기능이 강화되는 경향을 가지지만, 행정통제의 기능도 그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재결취소소송은 권리구제기능에 친하다는 점에서 보면 그 확대는 행정심판의 자기통제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된다. 행정심판은 행정소송의 전심절차인데, 이 의미는 행정분쟁의 終審이 되지 못한다는 의미이고, 전심절차이기만 하면 해당 재결을 행정소송의 대상으로 하는지 여부는 별개의 문제이다. 필요적 전치 여부가 재결취소소송 범위의 광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고, 원처분주의인지 재결주의인지 여부도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재결취소소송은 재결 자체의 위법에 대한 소송을 말하고, 원처분주의하에서 재결취소소송은 예외적임에도 불구하고 판례는 재결의 주체 절차 형식상 위법은 물론이고 내용상 위법까지도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최근의 판례를 소개함으로써 이러한 경향이 여전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내용상 위법을 폭넓게 인정할 경우에는 재결주의로 흐를 가능성이 높고, 또한 행정심판의 독자성이나 행정통제의 기능도 저해할 우려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appeals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relations of the two parties are the pre-trial proceedings of article 17(3) of the Constitution, article 18 and article 19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regal basis for administrative appeals as a pre-trial proceedings is article 107(3) of the Constitution, and administrative appeals as administrative control is an administrative procedure rule. Administrative appeals have a self-control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ministrative control function can be weakened if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expanded. Administrative appeals is a preliminary procedur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Whether or not to go through an administrative appeals does not affect the scope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Violations that only exist in decision are those that do not exist in the original disposition. It is the precedent's point of view to refer to illegality in the subject, procedure, form, and content of the decision. Among these,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judgment on actual judgment. However, if this is expand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ndependence of administrative appeals or the function of administrative control may be impaired.

Ⅰ. 서론
Ⅱ. 행정심판 및 재결취소소송의 근거와 의의
Ⅲ. 행정심판과 재결취소소송의 관계(1) : 행정통제로서의 행정심판
Ⅳ. 행정심판과 재결취소소송의 관계(2) : 전심절차로서의 행정심판
Ⅴ. 재결 자체의 위법의 개념과 재결취소소송의 범위
Ⅵ.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