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책명칭이 무엇이고 어떤 특징과 요소를 포함하는지에 대해 구체화하고, 지표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상징, 정책이미지, 정책PR의 이론적 관점을 확장하여 정책의 상징적 관점, 의사소통 및 사회언어적 관점, 프레이밍적 관점을 통해 이론적 검토를 수행하고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상징성과 정책이미지를 기초로 인지, 언어표현, 정책형상, 태도를 확인했으며, 각 변인을 정의하고 관련 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지표 중 적합한 지표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차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지, 언어표현, 정책형상, 태도의 지표는 각각 4가지 요인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언어표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구성요인 중 가장 적합도가 낮은 지표로 나타났다. 이는 언어표현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정책브랜드 및 공공언어 등의 관점을 통해 재확인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언어표현 중에서는 정책명칭의 구체성이 가장 중요한 척도로 확인되었다. 추상적이고, 감정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시민들이 정책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policy names are and what features and elements are included, and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indicators.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was carried out and the indicators were selected through the policy's symbolic perspective, communication and social linguistic perspective, and framing perspective by expanding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policy image and policy PR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gnition, language expression, policy shape, and attitude were confirmed based on symbolism and policy image, and each variable was defined and related indicators were presented. In addition, higher-order factor analysis and positive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appropriate indicators among the indicators presented. The results of analysis and sever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dicators of cognition, language expression, policy shape, and attitude could be seen to explain each of the four factors well. Next,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guage expression, it turned out to be the least suitable indicator of the component.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reaffirm the importance of language exp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brands and public languages. Finally, the specificity of policy nam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measure among language expressions. It is more important to present policies so that citizens can understand them than to use abstract, emotional t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