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우수
성과주의와 직무열의: 경쟁과 협력의 상보적 공존 가능성 탐색
Performance-based system and work engagement: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coexistenc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이하영 ( Lee Hayoung ) , 이수영 ( Lee Soo-young )
한국행정학보 54권 2호 183-223(41pages)
DOI 10.18333/KPAR.54.2.183
UCI I410-ECN-0102-2021-300-001121390

본 연구는 한국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층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성과주의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 내 경쟁과 협력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과주의는 조직 내 일정 수준 이상의 협력이 뒷받침되는 경우에 한하여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과주의 가 직무열의를 촉진하는 효과는 조직 내 협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더욱 강화되는 반면, 조직 내 경쟁 수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공부문의 특성상 성과주의의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평가도 적지 않으나,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도 성과주의가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바, 실효성 논쟁을 넘어 이러한 가능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지 고민하는 방향으로 논의의 초점을 전환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성과주의의 효과 달성을 위한 핵심 조건임에도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협력의 중요성을 재조명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쟁(competition)을 통해 동기유발을 꾀하는 성과주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cooperation)이 뒷받침되는 경우에만 직무열의를 촉진하였고, 이는 경쟁과 협력의 상보적 공존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단순히 본인의 이익을 위해 다른 구성원들을 능가하는 데 초점을 둔 경쟁이 아니라 조직 공동의 이익을 위한 협력이 뒷받침되는 보다 건설적인 경쟁에 바탕을 둔 성과주의를 추구해야 한다는 지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 performance-based system on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for public servants in central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based syste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only if it was supported by a certain level of cooper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While the effects of the performance-based system promoting work engagement were strengthened as the level of cooperation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ompetition. Although there are many skeptical views on the effects of a performance-based system due to the nature of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a performance-based system can be successful in the public sector and shifted the focus of discussion to thinking about how to raise this possibility beyond just the debate on effectiveness.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which has been overlooked so far, even though it is a key condition for achiev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a performance-based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formance-based system, which induces motivation through competition, promoted work engagement only when cooperation was supported, which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coexistenc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We suggest that a performance-based system based on more constructive competition backed by cooperation for the common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solely competition focused on surpassing other members for one's own benefi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