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22.27.192
3.22.27.192
close menu
}
KCI 등재 SCOPUS
우슈 국가대표팀 투로와 산타 선수들의 근 기능 위주 기초 및 전문체력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research of basic and professional fitness levels between national team taolu and sanda
조은형 ( Eun-hyung Cho ) , 고병구 ( Byoung-goo Ko ) , 성봉주 ( Bong-sung Sung ) , 이종백 ( Jong-baek Lee )
체육과학연구 31권 2호 382-392(11pages)
UCI I410-ECN-0102-2021-600-001121071

[목적] 본 연구는 우슈국가대표 남자 선수 투로와 산타종목선수 그룹의 체력측정결과 차이를 비교하여 우슈선수들의 체력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우슈선수들의 경기력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방법] 총 37명의 남자 우슈 국가대표 선수(투로 24명, 산타 13명)를 대상으로 2018년, 2019년 년 2회 선발전과 평가전을 통해 선발된 인원들을 대상으로 근기능 위주의 기초 및 전문체력측정을 실시하였다(신체구성, 등척성근력, 유연성과 평형성, 하지무산소성파워, 등속성근력). 투로종목과 산타종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체력요인을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신체구성에 신장과 체중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으나 체지방율은 산타선수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1). 둘째, 등척성 근력 항목(배근력, 악력)에 있어 산타선수 그룹 높은 경향이 있었지만 좌측 악력만 통계적 유의 차이가 있었다(p<.01). 셋째, 유연성과 평형성에서는 투로선수 그룹이 모든 유연성항목에서 산타선수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넷째, 하지 무산소성파워에서 투로선수 그룹이 최고파워와 평균파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최고파워 : p<.01 , 평균파워 : p<.001). 다섯째, 등속성 근력은 각근력 우측 굴근은 투로선수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1)과 요부신근은 산타선수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5). 여섯째, 등속성 근력비율에서는 좌우 각근력 굴근과 신근비율에서는 산타선수그룹의 굴근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5), 좌우 고관절 굴근과 신근비율에서는 투로선수 그룹의 고관절 굴근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또한 요부근력 굴근과 신근비율에서는 요부신근에서 산타선수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일곱째, 등속성 근파워에서는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우슈 투로와 산타 종목간의 서로 다른 특성분석 자료를 통하여 기술 및 체력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훈련의 효율성을 통해 경기력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ushu athletes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n the results of physical fitness between the male athletes of the Wushu national team Taolu and the Sanda group. [Methods] Measurement of basic and professional fitness based on muscle function, targeting 37 men Wushu national team players (24 taolu, 13 Sanda) i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contests twice in 2018 and 2019. Body composition, isometric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equilibrium, anaerobic power,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The fitness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aolu and Sanda. [Results] First, body fat rate of the Sanda athlet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taolu athlete group (p<.01). Second, in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category(back muscle strength, grip strength), the Sanda athlete group had higher muscle strength than Taolu athlete group,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ft grip strength (p<.01). Third, in terms of flexibility and equilibrium, the taolu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items(p<.001). Fourth, in the anaerobic power, the taolu athlete group had higher both the peak power and the mean power, and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peak power: p<.01, mean power: p <.001). Fifth, isokinetic muscle streng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ight knee flexion of the taolu athlete group (p<.01), and lumbar extensor musc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nda athlete group (p <.05). Sixth, in the isokinetic strength ratio, the knee flexion ratio of the Sanda athlet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left and right knee flexion and extensor ratios (p<.05). In addition, in the lumbar flexor and extensor ratios, the group of Sanda athlet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lumbar extensor(p<.05). Seven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isokinetic muscle pow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echnical and physical train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aolu and Sanda. The effectiveness of this training will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