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일회성 교정운동과 테이핑 처치가 여성 중등도 무지외반증 환자의 보행 패턴, 족저압, 평형성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ingle corrective exercise and taping on gait patterns, plantar pressure, balance, and pain in female moderate hallux valgus patients
유태근 ( Tae-geun Yoo ) , 조현석 ( Hyun-seok Cho ) , 이만균 ( Man-gyoon Lee )
UCI I410-ECN-0102-2021-600-001120903

[목적] 보행 시 첫 번째 중족지절관절에 통증이 있는 중등도(2단계)의 무지외반증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치료 목적의 교정운동과 교정테이핑의 일회성 단일처치 및 복합처치가 보행 패턴, 족저압, 평형성, 그리고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령이 20~30대인 여성 중 무지외반증 환자 21명(연령 30.1±5.1세, 신장 164.1±4.8 cm, 체중 56.7±6.8 kg, 체질량지수 21.2±5.7 kg·m-2, 무지외반 각도 27.2±6.1°)을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여, 각각 교정운동처치, 교정테이핑처치, 그리고 교정운동과 교정테이핑의 복합처치에 counterbalanced order에 따라 반복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전의 처치가 다음 처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처치 간에 1주일의 wash-out 기간을 두었다. 각 처치 중 보행 패턴, 족저압, 평형성, 그리고 통증과 관련된 변인을 측정하였다. 세 처치 간, 그리고 시기 간 종속변인의 차이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 이원변량 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행 패턴과 관련하여, 교정운동처치 및 교정운동과 교정테이핑의 복합처치에서 보폭, 입각기 발의 앞, 뒤 길이가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걸음 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보행 주기와 관련하여, 교정운동처치 및 교정운동과 교정테이핑의 복합처치에서 전족부 접촉 시간, 중족부 접촉 시간, 그리고 뒤꿈치 접촉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교정운동처치에서 양 하지 지지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보행시 족저압과 관련하여, 교정운동과 교정테이핑의 복합처치에서 중족부 최대압력과 뒤꿈치 최대압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교정운동처치에서 전족부 최대압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4) 평형성과 관련하여, 교정운동처치와 교정테이핑처치에서 눈감고외발서기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5) 통증과 관련하여, 교정테이핑처치와 및 교정운동과 교정테이핑의 복합처치에서 통증 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이상에서 기술한 결과를 종합하면, 중등도 무지외반증을 가진 20~30대 여성의 보행 시 전족부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회성 교정테이핑처치가 효과적이고, 족저압, 보행 패턴, 보행 주기, 그리고 평형성의 경우 일회성 교정운동처치를 통하여 충분하게 개선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운동 경험이 없는 중등도 무지외반증을 가진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교정 초기에 교정테이핑 처치를 통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추후 교정운동처치를 통하여 보행 패턴, 보행 주기, 보행시 족저압, 그리고 평형성을 개선시키는 처치의 단계적 적용이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향후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장기간의 처치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ngle corrective exercise (CEX) and corrective kinesio taping (CKT) on gait patterns, plantar pressure, balance, and pain in 20~30s female patients with moderate hallux valgus. [Methods] Twenty-one participants (age: 30.1±5.1 yrs; height: 164.1±4.8 cm; body weight: 56.7±6.8 kg; body mass index: 21.2±5.7 kg·m-2; hallux valgus angle: 27.2±6.1°) with hallux valgus was recruited and participated in three trials, i.e., CEX trial, CKT trial, and combined CEX and CKT (CEX+CKT) trial, repeatedly in a counter-balanced order. One week of wash-out period was placed between the trials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previous treatment on the next treatment. Variables related to gait pattern, plantar pressure, balance, and pain were measured during each treatment. We carried out repeated two way ANOVA on measured variables. [Results] 1) Regarding gait patterns, CEX treatment and CEX+CKT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length of patients strides, the single support line during the stance phase, and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cadence. 2) Regarding gait cycle, CEX treatment and CEX+CKT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contact times of forefoot, midfoot, and heel.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of double stance phase in CEX treatment. 3) Regarding foot pressure on gait, CEX+CKT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aximum pressure of midfoot and heel. CEX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aximum pressure of forefoot. 4) Regarding balance, CEX treatment and CKT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one leg standing with eyes closed. 5)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KT treatment and CEX+CKT treatment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ingle CKT treatment was effective in reducing pain when walking and that plantar pressure, gait pattern, gait cycle, and balance were improved through a single bout of CEX treatments. Therefore, treatments by stage, starting with CKT treatments to reduce the pain, and then treating CEX to improve the gait pattern, gait cycle, foot pressure when walking, and balance ability, would be effective. Future research is warran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long-term treatments.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