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eing은 아메리카대륙의 민간항공기 수요를 기반으로 민간항공기 제조업을 발전시켜 2017년 세계 민간항공기 시장의 41% 차지하고 있고, Airbus는 1970년 이후 유럽대륙을 기반으로 민간항공기 제조업을 육성하여 2017년 40% 차지하였다. 아시아는 향후 20년간 유럽과 미국대륙을 합친 정도의 항공기 수요가 발생하지만, 현재 아시아 대륙 항공기제조업체는 전체 민간 항공기시장의 1.3% 이하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민간항공기 제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그와 관련한 정책추진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불가결한 시점이다. 이 두 가지 난제와 관련 이슈를 동시에 해결 가능한 방안은 한국항공기개발센터(KADC: Korea Aircraft Development Center)의 구축이다.
일본은 1964년 YS11 독자개발하고, 판매 중 수요부족으로 생산중단의 실패경험을 바탕으로 1973년 JADC(Japan Aircraft Development Corporation)를 설립하고, Boeing사와 B767, B777, B787, B777X 등 민간항공기 RSP 국제 공동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세계항공기 제조업 선진국으로 진입하였다. 그래서 KADC의 성공모델로 손색이 없어 보인다. 중국은 2008년 5월 COMAC(Commercial Aircraft Corporation of China Ltd.)를 설립하여 민간항공기 ARJ 21, C919 개발 및 납품을 진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향후 이 조직의 성공 여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한국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0년 항공선진 7대국 진입’ 등 항공우주산업 선진국 진입을 지속적으로 추구해 오고 있기는 하지만, 실현 가능 여부에 대해서는 이슈가 다분하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항공기 시장진입을 희망하는 항공기 제조업체 종사자들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기 연구개발비 사용 결과 검토한 결과 항공기 완제기 개발과 우주개발에 95%를 투자하였지만, 생산은 항공기 동체 부품생산이 55%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런 왜곡을 시정하기 위하여 아시아 항공기 국제공동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포럼을 실시하여야 하고, 향후 증가할 아시아 항공기 시장을 선점하고, 세계 제트기 시장을 47%까지 점유하기 위하여 C919-300 국제 공동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
Boeing developed the commercial aircraft manufacturing business based on the demand for civil aircraft in the Americas, accounting for 41 percent of the global civil aircraft market in 2017, while Airbus fostered the commercial aircraft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European continent since 1970, accounting for 40 percent in 2017. Asia has a demand for aircraft that combine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ver the next 20 years, but currently Asian continental aircraft manufacturers control less than 1.3 percent of the total civil aircraft market. At this juncture, it is imperative to find ways to develop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private aircraft in Asia, including Korea, and to pursue policies related to them to create quality jobs. One of the two thorny issues and related issues at the same tim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ircraft Development Center (KADC).
Japan independently developed YS11 in 1964, and halt production due to lack of demand. Japan Aircraft Development Corporation (JADC) was established in 1973, based on the failure experience of independent development. JADC was continued to promote the joint development of commercial aircraft such as Boeing B767, B777, B787, B777X, and B777X. China established the Commercial Aircraft Corporation of China Ltd. (COMAC) in May 2008 to develop and deliver commercial aircraft ARJ 21, C919 but no one can say whether COMAC will succeed in the future. Although Korea has continued to seek to become an advanced country in the aerospace industry, such a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s “2020 year Aerospace Advancement into the Big Seven,” there are many issues regarding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aircraft manufacturers who wish to enter the commercial aircraft market, the 95% of aerospace R&D fund were invested in the development of completed aircraft and space development, but 55% of the production was made up of aircraft fuselage parts. To correct this distortion, a forum should be held to promote the international joint development of Asian aircraft, to preempt the growing Asian aircraft market in the future, and promote the C919-300 international joint development to occupy up to the 47% of global jet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