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학생부종합전형 자연계 지원자의 과학 선택과목 이수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Level of Completion of Science Elective Courses among the Natural Sciences Applicants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CESSR)
권지원 ( Jiwon Kwon ) , 박해정 ( Hae Jung Park ) , 정민주 ( Minjoo Jeong ) , 최혜미 ( Hyemi Choi )
UCI I410-ECN-0102-2021-300-001120499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되고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정착되면서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선택과목의 이수 여부가 주요 평가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 2020학년도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자연계지원자의 과학Ⅱ 선택과목 이수 현황을 분석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 및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Ⅱ 선택과목별 이수 비율은 단과대학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 단과대학과 과학Ⅱ 선택과목 간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과대학별로 특정 선택과목 조합의 이수비율이 높아 해당 전공을 이수하는 데 유용한 선택과목이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Ⅱ 선택과목 이수 경향이 중요한 평가요소가 될 수 있으며, 대학은 각 학교별 과목 개설 환경 파악 및 비교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With the expansion of students' choice of subjec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CESSR) in college entrance, the completion of elective courses necessary for studying university majors is used as a major evaluation factor for college entranc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level of completion of high school science Ⅱ elective courses among the natural sciences applicants of the CESSR at K University in 2019 and 2020 to give suggestions to students' selection of science Ⅱ elective courses and evaluation of the CESS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completion by science Ⅱ elective courses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college, confirming the link between the college and science Ⅱ elective course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each college has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taking certain elective courses, which are useful for studying the major. Through this, we suggest that the tendency to complete science Ⅱ elective courses i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and that universities need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ning of each courses by high school.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