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년제는 시행 초기에 진로탐색 활동을 강조한 반면, 최근에는 주제선택 활동의 내실 있는 운영을 강조하는 추세로 흐름이 바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유학년제 홈페이지에 공개된 교과연계 주제선택 활동 중 물리 영역의 프로그램을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주제선택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내 물리영역에서의 내용 분포,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 과학실험 수업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분석 결과, ‘힘과 운동’ 영역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과학과 5가지 핵심역량 중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의 포함 비율이 가장 적었다. 또한 과학실험 수업의 형태는 개방적이고 비구조화된 실험보다 폐쇄적이고 수동적인 실험의 비율이 더 높았다. 끝으로 내실 있는 과학과 물리 영역 주제선택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While the initial free semester program(FSP) puts emphasis on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ts emphasis is now shifted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me selec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s-based programs in theme selection activities, which were introduced on the FSP website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specially, we analyzed distributions of the contents and in physics area, elements of the scientific key competencies(SKC), and types of science experiments in those physics-based program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largest percentage of programs are related with the area of “forces and motion” and the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mong other SKC is the least included in all programs. And the closed and passive experiments are higher in proportion than the active and non-structured ones. Finally, we discussed the method to operate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