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뒤샹과 모노하(もの派)의 차용론 : 예술계수와 앵프라맹스 개념을 중심으로
Theory of Appropriation According to Duchamp and Mono-ha : Via the Concepts of Art Coefficient and Inframince
손지민 ( Ji-min Son )
미학예술학연구 vol. 60 163-190(28pages)
DOI 10.17527/JASA.60.0.06
UCI I410-ECN-0102-2021-600-001120403

뒤샹은 자신의 첫 레디메이드를 전시한 1914년 이전에 이미 차용을 예술작품제작의 근본 조건으로 받아들였고 예술작품 제작의 모든 과정을 레디메이드적 요소들의 혼합으로 간주했다. 반세기가 흘러 일본에서 등장한 일명 ‘모노하’는 더욱 급진적인 차용론을 제시했다. 모노하 작가들은 공통적으로 차용된 사물을 미리 계획된 이념 표현의 목적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하려 했고, 자신들의 의도가 의미할 수 있는 범위를 차용된 사물을 지각의 장에 최대한 있는 그대로 ‘방치’하는 데에 집중시키는 방법을 선택했다. 모노하 작가들은 의도와 의도의 발현으로서의 작품사이에 존재하는 간극, 즉 뒤샹이 반세기전 ‘예술계수’라 칭한 간극을 최소값으로 줄이려는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본 논문은 뒤샹이 레디메이드라는 대안으로 예술계수를 극복하려한 시도들을 그의 앵프라맹스 개념을 통해 되짚어보고, 뒤샹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모노하가 이 대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행한 시도들을 차례로 연구한다.

Marcel Duchamp fully embraced the role appropriation played in the artistic process before his first undertaking of the ready-made method in 1914, going as far as stating that the entire artistic process consists, in essence, of combining ready-made elements. Almost half a century later came the advent of a more radical notion of appropriation forged by Mono-ha in Japan. The Mono-ha artists attempted to strip appropriated objects of any purpose of expressing premeditated ideas by limiting the scope of signification of their intention to purely (or merely) abandoning the chosen object as it exists in the field of perception. They recognized and shared the very problem of the fundamental condition posed by what Duchamp called the “art coefficient.” This article will first explain Duchamp's attempts to rethink and overcome the art coefficient through ready-made experiments via his famous notion of inframince, followed by the main inquiry into Mono-ha’s solution to Duchamp's limits.

Ⅰ. 서문
Ⅱ. 뒤샹: 예술작품 제작의 조건으로서의 차용과 발현의 조건으로서의 앵프라맹스
Ⅲ. 모노하: 이념을 벗어나 거기에 있는 모노
Ⅳ. 뒤샹과 모노하: 차이로서의 예술계수를 받아들이는 방법
Ⅴ. 결론: 앵프라맹스와의 화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