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80.179
3.147.80.179
close menu
}
KCI 등재
건강수준 평점화 모형을 적용한 건강등급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Grade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Health Level Scoring Model
권혁성 ( Hyuksung Kwon ) , 오필재 ( Piljae Oh ) , 김현철 ( Hyeoncheol Kim )
보험학회지 123권 85-131(47pages)
DOI 10.17342/KIJ.2020.123.3
UCI I410-ECN-0102-2021-300-001120262

최근 기대수명의 증가와 함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관리가 개인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개인의 건강상태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건강상태를 계량화하고 건강수준을 구분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신용평가모형의 등급 산출 시스템에서 주로 활용되는 방법론을 바탕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코호트 DB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관련 정보를 반영한 건강수준 평점화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등급을 도출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건강등급에 따른 다양한 질병관련 위험의 보험요율 차등화에 필요한 상대적 위험도를 도출하였다. 제시한 평점화 모형에 의해 도출된 건강등급을 이용하여 각 개인별로 노출된 질병 발생 위험에 대한 상대적 위험도의 차이를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되며, 민영건강보험 적용 시, 보다 차등화된 보험요율 적용이 가능하다.

Health management for improved quality of life has become an important individual and social issue according to recent increase in life expectancy. In order to provide various services based on individual health statu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quantify individual health status and to classify a group of individuals into a variety of classes according to their health. In this study, the individual credit rating model was applied for designing a scoring model and determining the grade of health level of an individual. Cohort DB provid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as analyzed to derive the scoring model and associated results. Finally, ratemaking for various types of health-related risk were illustrated. The health grade derived by the proposed rating model is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y in that the difference in the relative risk for each health grade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individual's exposed disease risk. And when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apply more differentiated insurance rates.

Ⅰ. 서 론
Ⅱ. 건강 지표 정의 및 건강 위험요인 모형
Ⅲ. 건강수준의 평점화 모형
Ⅳ. 건강수준에 따른 등급화 및 건강사고 요인별 상대적 위험도 도출
Ⅴ.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