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을 위한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립초등학교 교사 17명이다. 초등교사의 가설생성에 적합한 주제 및 소재를 개발하여 0-3단계 가설생성 프로그램 절차를 구성하고 16차시 활동지를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투입 전, 후 가설생성능력지수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내에서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초등교사의 가설생성이 정교화되었다. 프로그램 내 0단계에서 3단계로 갈수록 가설생성능력지수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단계와 2단계 사이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2단계는 의문 현상과 유사한 현상의 원인적 설명자를 제공하는데, 이것이 가설생성에 가장 효과적으로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가설생성능력평가범주를 참고하여 교사들이 단계별로 생성한 가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0단계에서 3단계로 진행할수록 탐구문제에 대한 답으로서 가설 진술, 하나의 독립변인과 하나의 종속 변인과의 인과관계로 가설 진술, 검증가능한 가설 진술, 일반화된 가설 진술의 비율이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을 투입한 교사들의 사후 가설생성능력지수가 사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은 교사들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은 것과 비교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사 경험의 단계적 제시를 활용한 가설생성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스스로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초등교사들을 돕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므로 학생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다면 초등학생의 가설생성능력 향상을 돕는 데도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ypothesis generation program that utilizes a stepwise 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s to improve the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subject and materials suitable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veloped and the 0-3 level hypothesis program procedure and the 16th activity sheet were construct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tage progressed in the program, the hypothesis gene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as elaborated. The average of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index increased from step 0 to step 3 in the program, especially in the 1st and 2nd steps. Second, the post-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index of the teachers who put the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This is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eachers who did not enter the program was not noticeabl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ypothesis generating program using the stepwise suggestions of similar experience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of elementary teacher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help elementary teachers who feel that they lack the understanding and expertise of the scientific hypothesis. In addition, since the program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helping elementary students improve their hypothesis generating ability if the program i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student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