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7.254.203
18.117.254.203
close menu
}
KCI 등재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상민 ( Lee Sangmin )
한국초등교육 31권 2호 181-204(24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19767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대면 수업이 어려워지면서 온라인 교육이 대안적 교육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면 수업이 필수적인 실험, 실기, 실습 과목마저 원격으로 운영되어 학생들이 교육의 질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기도 하며, 예비 초등교사 양성 기관에서의 온라인 교육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실기활동이 동반되는 미술 교과는 타 교과에 비해 온라인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저조할 뿐만 아니라,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미술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온라인 교육의 특징과 한계를 살펴봤을 때, 온라인 예비교사 교육은 예비교사들이 협력적 온라인 교수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실제적 맥락에서 수업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교밖 학습 환경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교수자는 온라인 학습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고 내용요소, 교육형태, 학습도구를 함께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에서 다뤄야 할 내용으로는 미술교육이론, 미술 실기활동, 수업지도안 개발 및 수업 시연, 온라인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꼽을 수 있으며, 화상강의, 플립러닝, 마이크로티칭, 온라인 협업 활동, 온라인 저널, 온라인 포트폴리오, 온라인 전시 등을 교육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줌(Zoom), 학습관리체계(LMS), Google 협업도구, 보이스스레드(VoiceThread), 파워포인트(Powerpoint) 등 다양한 온라인 학습도구의 효과적 활용도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온라인 미술교육 설계에 따라 미국 A 대학교의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활성화, 개별화된 실제적 경험을 통한 미술교과 지도역량 함양, 학교 밖 학습 환경의 한계 극복의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delves into how to design and implement the online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COVID-19 pandemic, online education is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education methods since in-person instruction is limited to online or remote means. However, online education at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is still insufficient. As art incorporates hands-on activity, the research on online art education are rare. In particular, it is hard to find the research on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 Kore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online education, online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in the direction of forming a cooperative online teaching-learning community, providing opportunities to enhance teaching skills with authentic context, and considering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e instructor nee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environment and consider the content elements, instructional forms, and learning tools together. The contents of online art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clude art education theory, art exploration, lesson plan development and teaching demonstration, and online lesson contents development. Video lectures, flipped learning, microteaching, online collaboration, online journal, online portfolio, and virtual art exhibition can be used for instructional forms. Effective usage of various online learning tools is also essential. A case study at one university in the U.S. showed that online art education has several effects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activating the interaction in the online environment, 2) cultivating the art teaching skills through individualized authentic experience, and 3)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remote learning.

Ⅰ. 서론
Ⅱ. 온라인 예비교사 교육
Ⅲ.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설계
Ⅳ.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