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58.83
3.147.58.83
close menu
}
KCI 등재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구성요소 및 교수목표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onents and Instructional Goals for Improving Primary English Language Learners’ Global Digital Citizenship
김진석 ( Kim Jin-seok )
한국초등교육 31권 2호 151-167(17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1974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구성요소 및 교수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네스코(2015a,b,c)와 옥스팜(2015)의 교육과정을 글로벌 디지털 시민성의 구성요소 및 교수목표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글로벌 디지털 시민성과 관련된 구성요소(태도, 지식, 기능, 실행력) 및 교수목표 설정 체계 등이다. 분석 결과,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의 속성과 옥스팜의 태도와 가치를 반영하여 기여(commitment), 개방(openness), 존경(respect), 공감(empathy)으로 구성된 CORE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글로벌 이슈를 이해하고, 기억하고,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식(상호작용, 보편적 핵심 가치, 글로벌 이슈, 효과적이고 적절한 의사소통 등에 대한 이해와 지식)과 기술(인지, 행동, 기능, 기술 등과 결합된 혁신 기술, 의사소통 기술,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 협력)을 구성요소로 설정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하다. 더욱이 학습자들이 글로벌 공동체에 소속감을 가지고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는 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더 공정하고, 더 평화롭게, 더 정의로운 국제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변혁적으로 행동하는 실천력을 갖도록 교수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학습자들이 세계시민으로써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는 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그와 관련된 지식을 조사하며, AR, VR, 다이얼로그 플로 챗봇 등과 같은 인공지능 도구를 통해 글로벌 이슈를 체험하고 이해함으로써 국제사회를 더 공정하고 더 정의롭게 만드는 방법을 생각하도록 하며, 나아가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협력하여 글로벌 이슈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려는 실천적 행동을 갖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학습자들의 글로벌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구성요소 (태도, 지식, 기능, 실행력) 뿐만 아니라,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별 교수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components and instructional goals of global digital citizenship (GDC)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primary English language learners. To achieve the purpose, OXFAM (2015) and UNESCO (2015a,b,c) were analyzed because they are well-designed in the aspect of global digital citizenshi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hat attitude and value are prerequisite components for improving learners' GDC, which corresponds to UNESCO (2015c)'s ‘informed and critically literate’ attributes and Oxfam (2015)'s attitude and value. (2) The components of ‘knowledge’ and 'skills' have to be established for learners to understand, remember, apply, analyse, and creatively solve global issues in classes. (3) It is essential that learners have implementation force of acting out positive behavior and action, because a global citizen needs to have ethical, peaceful, positive, transformative, and meta-cognitively reflective action of having a sense of belonging to a global community, which corresponds to UNESCO(2015c)'s ‘ethically responsible and engaged’ attributes, and (4) AI based-instructional goals are important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global digital citizenship during doing classroom activities. From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the components and contents for impro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global digital citizenship should be designe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and instructional goal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need to be presented for teachers to design learning objectives.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s
Ⅲ. Methods
Ⅳ. Finding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