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7.186.131
18.117.186.131
close menu
}
KCI 등재
SOTG-PE를 활용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게임수업 개선 연구
A Study on Novice Teacher’s Improvement of Instruction Using SOTG-PE in Elementary School Game Class
이동일 ( Lee Dong-il ) , 장용규 ( Chang Yong-kyu )
한국초등교육 31권 2호 119-133(15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19727

이해중심 게임수업 모형이 제시된 후로 많은 대안적인 전략 게임 모형들이 제시되었고, 다양한 전략게임 모형의 영향력과 효율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후속 연구들의 신뢰성과 함께, 게임지도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SOTG-PE(The System for Observing the Teaching of Games in Physical Education)이다. SOTG-PE는 게임수업에서 학생의 신체 활동 유형, 수업 활동 상황, 교사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관찰하고 가록하며, 각 구간마다의 기록을 바탕으로 코딩 작업을 통해 행동 유형을 정량화하여 수업을 관찰하는 도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게임수업에서 Roberts와 Fairclough(2012)가 개발한 SOTG-PE(체육교육에서 게임수업 관찰체계)의 활용이 초등교사의 게임수업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D초등학교의 담임교사 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각 5차시의 게임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매 차시 마다 SOTG-PE를 활용하여 수업내용을 분석하고 반성일지를 작성하였다. 또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후속차시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SOTG-PE 분석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반성일지와 심층면담의 내용을 수집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관찰 가능한 유의미한 수업 변화와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효율성을 위한 수업시간 관리 측면에서, 전체 관리시간을 줄이고 게임 참여시간을 늘리려는 변화가 있었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피드백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전략적 피드백을 늘리려는 변화가 있었다. 셋째, 체육교과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 측면에서, 체육교과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 넷째, 체육 수업지식의 변화 측면에서 수업모형 탐구와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끝으로, SOTG-PE가 체육수업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SOTG-PE를 활용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use of SOTG-PE(The system for observing the teaching of games in physical education) developed by Roberts and Fairclough(2012) affec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rovement in game instru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homeroom teachers of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tudied qualitatively.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ducted game class in the 5th class, and coded and analyzed the class video using SOTG-PE, recorded the reflection journal, and modified the follow-up class. The researchers used the SOTG-PE instructional improvement study to observe changes in observable meaningful changes in the participants, as well as th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physical education and PCK(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hange in teaching time management aspect for teaching efficiency. Second, there was a change in feedback strategy for learner - centered class. Third, there was a change in values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Fourth, there was a change in PCK of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ion, we discussed the effect of SOTG-PE on the improvement of the instruction of the participants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the expans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addition to the self-teaching improvement study using ‘Action Research’ and ‘Self-Study’ methodolog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