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수학을 시도한 초등수학 교과서의 이야기를 대상으로 서사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 수학의 도구적 기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연구 자료는 스토리텔링 수학을 시도한 ‘2009’ 및 ‘2015’ 『수학』교과서가 구현해 보인 이야기 중에서 스토리텔링의 전형성과 서사성이 높은 것으로 샘플 선정하였다. 스토리텔링 수학의 이야기 자료가 지닌 서사 분석의 과정에서는 서사학이론을 기반으로 스토리(story)와 담론(discourse)의 양대 구성 요소를 추출하여 정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토리(story)의 세부 요소로 플롯(plot)과 인물구성(characterization) 및 이야기 내용이 가진 수학적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을, 담론(discourse)의 세부 요소로 시점(point of view), 문체(style), 목소리(voice)를 각각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였다. 두 이야기의 서사 요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수학』교과서가 구현한 스토리텔링 수학의 이야기가 학생들을 수학적 의식으로 이끄는 비중은 각각 30% 가량이다. 둘째, 플롯(plot)이 보이는 사건의 인과성은 두 교과서가 각각 100%, 45% 가량이다. 셋째, 이야기를 들려주는 목소리의 수는 ‘서술자와 네 인물의 여섯’, ‘서술자와 학생의 둘’로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서술자는 모두 존재 특성이 불분명한 전지적 서술자이다. 넷째, 인물 구성 면에서는 2009『수학』교과서에 고유명사인 ‘라나’ 및 일반명사인 ‘상인 아저씨’, ‘어머니’, ‘촌장님’을, 2015『수학』교과서에 ‘지혜, 수일, 도형, 슬기’라는 고유명사를 활용하였다. 스토리 구성 방식에서는 두 교과서 모두 생활 속 상황을 글로 제시하였으며, 2015『수학』교과서에서 독자적으로 서술의 기능을 담당하는 그림을 활용하였다. 이 결과를 동화 「맘대로 천원」(유은실, 2008)의 서사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두 『수학』 교과서의 스토리텔링이 서사성의 함유 정도뿐만 아니라 수학적 요소의 함유량까지도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두 수학 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그 목적을 실현할 도구적 기능을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게 한다. 스토리텔링 수학의 이야기가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서는 스토리와 담론 면에서 이야기의 역동성을 지닐 수 있도록 창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storytelling as a teaching tool for elementary math education. We analyzed narrative components of two stories selected from the '2009' and '2015' mathematics textbooks that attempted storytelling. The two stories selected due to their typicality and narrativity, and precisely analyzed based on the narrative theory. Particularly, story and discourse, both components of the stories were extracted and evaluated. The story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narrative elements of plots, characters,, and a stream of mathematical consciousness in the narrative text. The discourse was examined by collecting narrative elements including point of view, style, and voic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arrative elements from two stories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telling for math education embodied in the both textbooks lead students to mathematical consciousness with a weight of about 30%. Second, the causality of events shown in plots is 100% and 45% for '2009' and '2015' mathematics textbooks, respectively. Third, the number of voices telling the story consists of 'six voices, two narrators and four characters' and 'two voices, the narrator and the student', and all of the narrators are omniscient and almost devoid of identity. Fourth, in terms of the character composition, the proper noun 'Lana' and the common nouns 'Mr. Merchant', 'Mother', and 'Village chief' were used in the '2009'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proper nouns 'Jeehye’, ‘Suil’, ‘Dohyung’, and ‘Seulgee' were used in the '2015' mathematics textbook. We compared these results with the narrative elements of a famous children's fiction, "Freely Cheon Won(Cheon Won means one dollar.)"(Yeunsil Yu, 2008) on the same basis.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two stories in both mathematics textbooks have less narrative elements as well as fewer mathematical elements than the children's fiction. Taken together, we concluded that the storytelling method of both mathematics textbooks appears not sufficient to function as a teaching tool.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at the stories for math education should be interesting to students in the elements of story and dis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