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심청전>에 나타난 설득 담화 양상 연구 ―표현교육의 제재로서 ‘신재효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uasion Conversation Aspects in < Shimcheongjeon > ―Foused on Value as Shinjaehyobon as a Material for Expression Education
주재우 ( Joo Jaewoo )
UCI I410-ECN-0102-2021-700-001128255

이 연구는 <심청전>에 나타난 설득 담화 양상을 분석하고 그 전략과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고전 작품을 통한 표현교육의 확충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청전> 이본 중 신재효본을 완판본과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청과 심봉사의 설득 담화에서는 부녀지간의 특수성을 고려한 설득 전략이 드러나 있다. 설명적 예시를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며 이것들과 비교를 통해 청자의 부담감을 줄이려는 표현 전략으로 활용되었다. 심청과 장승상 부인의 설득 담화는 완판본에만 나타나 있고, 신재효본에는 나타나 있지 않는데 극적인 효과 대신 현실적 합리성을 택했다고 볼 수 있다. 심청과 황제의 설득 담화는 공적인 상하관계에서 비자발적인 발화로 시작하여 돌려 말하기를 통해 요청하기를 수행하는 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서사의 합리성을 갖춘 신재효본에 대한 평가에 기대어 설득 담화의 합리성을 탐구해 본 결과 신재효본은 첨예하게 대립되는 논쟁 상황에서는 설득의 논리와 전략이 돋보이는 이본으로서 표현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 of persuasion conversation in Korean classical novel < Simcheongjeon(沈淸傳) > and derives its strategy and features. Through this, we want to realize the understanding of a traditional language culture of persuasion and enlarge the educational content for expression. The following features of persuation conversation are shown in Shinjaehyobon(申在孝本). Simcheong persuaded her father used illustrative examples and comparisons scheme to reduce his father’s psychological burden. There is no persuasion conversation between Shim Chung and noble lady Jang, because the converted writer Shinjaehyo chose narrative rationality rather than dramatic effect. To persuade the emperor to hold a feast for blinds, the empress Simcheong spoke in passive and indirect dialogue. Shinjaehyobon among < Simcheongjeon > versions is a material for expression education that shows the traditional strategy of persuasion.

I. 서론
II.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III. 인물간 설득 담화 양상 비교
IV. 설득 담화 양상으로 본 신재효본의 가치
V.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