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정보화 시대의 국어사전의 역할과 의의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Dictionary in the Information Age
이기연 ( Yi Kiyoun )
UCI I410-ECN-0102-2021-700-001128240

이 연구는 정보화 시대에 국어사전의 역할과 나아갈 바를 사전 사용자의 사전에 대한 인식 및 사용 양상을 조사하고 현재 사전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국어사전이 본질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를 확인하고 보강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먼저 사전 사용 양상 조사 결과 국어사전 사용자들이 사전을 통해 주로 확인하는 정보는 단어의 뜻풀이, 표기 및 규범(맞춤법, 띄어쓰기 정보), 원어(한자), 용례 등으로 가장 ‘국어사전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의 국어사전은 주로 웹에서 서비스되면서 분량에 제한이 없고 시청각적 매체 활용이 용이해 사전에서 다루는 미시 정보가 매우 다양해지고 세분화되었으며 무리한 언어 설명 대신 좀 더 효과적인 멀티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의 인식이나 사용 양상에 따른 요구 사항을 살펴보면 국어사전이 나아갈 방향은 기술적인 부분은 활용하되 가장 국어사전적인 성격이 강화되는 것이어야 하기에 국어사전의 본질을 회복하고 국어사전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며 사용상의 편의를 확대하기 위해 뜻풀이의 강화, 용례의 확장, 표제어 검색 방식의 확대, 뜻풀이 정보의 수준별 제시 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he Korean dictionary in the information age and the perceptions and usage patterns of dictionary users regarding its future.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dictionaries to identify and reinforce what essential values the Korean dictionary should pursue. The current Korean language dictionary is mainly accessed online, so there is no limit to the amount and convenience of available audiovisual media. Therefore, the micro information covered in the dictionary has become quite diverse and subdivided, and dictionaries are being transformed into a media for actively utilizing more effective multimedia rather than for accessing language explanations. In order to strengthen the nature of the Korean dictionary and expand its convenience, this study presents guidance on how to strengthen definitions, expand usage, expand search methods using headwords, and suggest the level of information for meaning.

I. 머리말
II. 연구사 검토
III. 국어사전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사용 양상
IV. 변화하는 국어사전의 방향
V.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