奴婢가 호를 대표하는 奴婢戶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걸친 시기의 호적대장에 가장 많이 등재되었다. 본고는 17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호적등재 원칙의 관점에서 노비호의 형성과정을 추적하며, 17세기 말에 노비호가 대거 등재되는 이유에 대해서 추론한다.
호를 단위로 하는 ‘稅役’의 부담을 책임지는 자로서, 호의 대표자는 ‘職役’을 가진‘良人’으로 세우는 것이 원칙이다. 17세기 초까지 호적에 사노비들로 구성된 호가 없지 않으나, 모두 ‘노비소유주+노비’의 형태로 등재되었다. 노비소유주가 그 호의 주체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7세기 말의 호적대장에는 호의 대표자로서 사노비가 소유주의 앞에 기재되고 소유주가 기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더구나 그러한 호는 전체의 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다. 이러한 호의 사노비 소유주는 한 지역의 호적에 자신의 호와 함께 그의 노비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호를 등재하고 있다.
17세기 말의 호적장부에는 가능한 한 많은 호구를 파악하고자 하는 정책에 힘입어 등재되는 호구수가 증가하였다. 지역사회에서는 그곳에 할당된 호구의 총수에 준하여호를 단위로 하는 세역 부담이 분배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세역 부담을 사회경제적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분배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노비호의 등재에 노비소유주가 깊이 관여한 것으로 추측된다. 1720년경의 토지대장에도 필지마다 토지소유자로서 노비소유주와 노비의 이름이 함께 기재되거나 노비명만이 기재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조선왕조 재정의 관점에서 17세기의 노비호 형성과 무관하지 않다.
The household registers compiled from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registered a large number of nobi household heads. This study traces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household with nobi heads until the late 17th century.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reason why the household registers needed to record households of nobi heads.
As the person in charge of national taxation and corvée for the household, the household head used to be chosen among free-born in principle, having an occupational record. The households of nobi were registered in the form of 'owner + nobi' in household registers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This form tells us that the nobi owner was the real head of the household, even it had a nobi head. However, the household registers of the late 17th century used to record the nobi instead of the owner of the nobi, and some households did not report the owner. As a result, we can find not only the household of the owners of nobi but also several households of his nobi in a register.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and population in the registers in the late 17th century increased due to the financial policy of the government which intended to find more households as possible. The total amount of national taxation and corvée, which was imposed on a county, was allocated to sub-counties by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This study supposes that composing and registering households with nobi heads were invented by nobi owners as a means of distributing national taxation in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capacity of each household in a sub-county. A similar feature was reported from the land register compiled around 1720 which recorded the information of the landowner in the form of 'owner + nobi' or nobi alone to represent the real landowner.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finance, these recording patterns were deeply related to the process and reason for increasing households with nobi heads in the household register in the 17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