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실존철학 상담의 두 방향
Two Attitudes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of existentialism
서동은 ( Dong-uhn Suh )
UCI I410-ECN-0102-2021-100-001125918

이 논문은 개인의 기질과 성향에 따라 실존철학의 두 방향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를 모색하고자 하는 시론이다. 사르트르가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에서 구분한 바에 따르면 실존주의에는 두 개의 방향이 있다. 그 하나는 유신론적 실존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무신론적 실존주의이다. 이 두 방향은 신의 절대성을 인정하고, 신앙을 통해 그 절대성으로 귀의하려는 경향과, 어떠한 절대자도 인정하지 않고, 인간의 이성적 선택 자체를 신뢰하는 경향으로 대표된다. 이러한 두 실존주의의 방향은 내담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그대로 철학 상담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내담자가 의존적인 성향이 강한 사람이라면, 분리 불안의 성향이 강하기에, 유신론적 실존주의의 관점에서 철학 상담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무신론적 실존주의적 방향의 철학 상담적 대안은 분리불안보다는 융합불안이 강한 사람에게 더 적합할 것이다. 그렇지만, 각각의 경향이 지나쳐서 과도한 부끄러움과 죄책감에 빠지거나 나르시시즘에 빠져 버린다면 개인의 일반적인 성향과는 정 반대의 방향으로 철학 상담이 유도되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개인과 타자 사이의 긴장을 사는 소통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This article is to find what kinds of contribution two attitudes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of existentialism can bring to the counseling,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personal characters and dispositions. In Existentialism Is Humanism, Jean Paul Sartre carefully discerned two attitudes of existentialism: theistic existentialism and atheistic existentialism. The former is that which accepts the absoluteness of God and tends to devote to the absolute God through faith, and the latter is that which does not believe in any absolute being and which instead tends to follow the rational choice of the human subject. These two orientation of existentialism can be applied to situations in philosophical counseling. In general, theistic approach to counseling is desirable when the client has a sign of dependency and thus a disposition of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theistic approach may be an alternative to the former approach when the client has rather a disposition of fusion anxiety than that of separation anxiety. However, if the client shows either of two so extremely strong dispositions that s/he fells into a state of shame or guilty or narcissism, the counselor in philosophical treatment may better take the opposite approach to the above cases. Wha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he counselor’s effort to dissolve a kind of tens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1. 들어가는 말: 타자와 나 사이에서
2. 유신론적 실존주의와 무신론적 실존주의
3. 실존주의 두 방향에 대한 비판
4. 분리 불안 vs. 융합 불안
5. 분리 불안의 극단적 사례: 지나친 부끄러움과 죄책감
6. 융합 불안의 극단적인 사례: 나르시시즘
7. 나가는 말: 실존철학 상담의 두 방향 사이에서 균형 잡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