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도덕 딜레마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도덕 딜레마의 정의와 특징을 탐구하고,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도덕 이야기들 중 도덕적 갈등사태를 선정하여, 연구에서 제시한 도덕 딜레마의 특성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일반 딜레마와 도덕 딜레마의 차이를 살펴보고 도덕 딜레마가 가지는 특성을 도덕적 딜레마 배경, 주인공, 선택의 상황, 도덕 이슈의 포함, 당위적 질문 등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초등 도덕 교과서에 등장하는 도덕 이야기들이 일부도덕 딜레마 요건을 갖추고 있는 데 반해, 균형 있는 도덕적 이슈를 반영하지 못하고, 초등학생들의 인습 수준과 인습 인후 수준의 사고를 자극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향 후 초등학생용 도덕 딜레마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ral dilemma as a basic study to develop the moral dilemm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ect moral conflicts among moral stories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and analyze how the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dilemma.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dilemma and the moral dilemma.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al dilemma were presented as five: moral dilemma background, protagonist, selection situation, moral issue inclusion, and “Should” question. The study pointed out that moral stories in elementary moral textbooks have some moral dilemma requirements, but do not reflect balanced moral issues and stimulate elementary students' moral reasoning on the conventional level and post conventional level. Finally, the importance of follow-up studies to develop the moral dilemm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