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국민청원 게시글에 나타난 온라인 글쓰기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Writing in the National Petition Posts
김은일 ( Kim Eun-il ) , 이은경 ( Lee Eun-kyoung )
작문연구 vol. 45 73-103(31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1124927

이 글은 국민청원 게시글 분석을 통해 온라인 글쓰기의 한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국민청원에 연구는 다양한 관점으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글쓰기’라는 측면의 작문학적 관점의 연구는 전무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고는 국민청원 게시글의 특징을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도입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국민청원 답변을 받은 게시글 130건을 대상으로 한다. 국민청원 글에서 드러나는 글쓰기의 특징은 크게 3가지이다. 첫째, 발신자/수신자의 확대와 다중적 의사소통의 발생이다. 둘째, 사적, 공적 글쓰기가 혼용되고 있다. 셋째, 시대적 관심사가 한 쪽으로 쏠리는 메시지 편중 현상이다.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민청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국민청원글을 매우 공식적인 글로 인식했다. 그러나 글쓰기 규범에 대해서는 유연한 태도를 지녔다. 이는 글쓰기와 글 읽기에 대한 이중적 태도라 할 수 있다. 국민청원 게시글에 나타난 특징은 공적 온라인 글쓰기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전통적 글쓰기와는 다른 공적 온라인 글쓰기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atures of online writing by analyzing the national petition posts. Research in regarding to the petition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there was no research in the aspect of compos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petition posting by introducing communication theory.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that are revealed in the national petition. First, expansion of sender/recipient and the occurrence of multiple communication. Second, private and public writing are being mixed up. Third, unequal distribution of generational atten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freshmen in college on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petition, students recognized it as a very formal one. However, they have a flexible attitude toward writing norms. It could be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writing and reading. The features shown in the national petition post suggest the necessity of public online writing. It is time for a change in perception of public online wri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writing.

Ⅰ. 서론
Ⅱ.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발신자·수신자의 확대와 다중 소통의 발생
Ⅲ. 전통적 글쓰기의 변화와 관심사의 편중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