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Candidate
희곡 「영월행 일기」에 드러난 연극 치료적 특징
Drama Therapeutic Features in the Playscript 「Yeong woel haeng Il ki (A Diary of Journey to Yeong-woel)」
곽병창 ( Gwak Byeong Chang )
UCI I410-ECN-0102-2021-000-001137528

희곡 「영월행 일기」에서 쓰인 극중극의 구조는 결과적으로 여러 겹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다. 외부극의 주인공 노릇을 수행하고 있는 조당전은 김시향이라는 인물에게 역할놀이를 통한 자아 찾기의 과정을 제안한다. 김시향은 치료극에서의 내담자와 같은 역할로 등장하지만 극중극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예상보다 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치료사 역할을 자처했던 조당전을 오히려 치료해주는 단계에까지 나아간다. 이 과정에서 김시향이 겪는 변화과정은 그대로 ‘체현(Embodiment)-투사(projection)-역할(Role)’의 극적 발달 과정과 일치한다. 조당전은 치료사로서의 역할을 자처하며 극중극을 이끌어가지만 그 과정에서 김시향을 연모하는 입장으로 미묘한 변화를 겪으면서 오히려 치료의 대상으로 변하는 혼란을 겪는다. 내부극의 주인공으로 설정된 가상의 인물 남종은 세 차례의 영월행을 반복하는 동안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깊은 각성을 얻는다. 그리고 자유인으로의 근본적 변환(transportation)을 도모한다. 그러나 그의 이와 같은 변환은 결국 존재의 소멸을 불러일으키는 위험한 시도인 것으로 밝혀진다. 여종 또한 세 번의 영월행을 통해서 존재와 의식의 일시적 변환(transformation)을 경험한 뒤 달라진 의식을 지닌 채 이전의 존재로 돌아간다. 그리고 그 결과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존재의 유지 또는 영속이다. 남종과 여종은 동시에 극심한 심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단종에게 극놀이(인형 만들기)를 제안하면서 그것을 통해서 위안을 얻도록 권유하는 치료사의 기능을 수행한다. 단종은 일종의 내담자가 되어 남녀종들이 제안한 연극놀이를 스스로 진행하며 이를 통해서 진정한 깨달음에 도달하게 된다. 무정물인 인형으로 등장하는 당나귀는 주인공들의 영월행에 동행하면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며 치료 과정을 돕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들이 당나귀를 타고 과거로의 여행을 다녀오는 길은 원형의 공간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 원(圓)은 깨달음과 재생의 제의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이 작품에 동원된 여러 겹의 역할극 놀이는 극중 인물 대다수에게 기존의 자아를 반추하게 하고 새로운 자아를 탐색하게 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 관객으로 하여금 자유와 억압, 나아가 존재의 정체성에 대한 궁극적 깨달음을 얻게 하는 연극 치료적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A Diary of Journey to Yeong-woel」 reveals Drama therapeutic features very well. The structure of ‘play in the play’ is a kind of tools which able to heal with several layers. As a hero, Jo Dang Jeon suggests the process of finding identity through some role play. Kim Si Hyang appears as counselee but as the process going, She acts positively in role play. And finally She looks like counselor for Jo Dang Jeon. Her transformational process accords to typical drama therapeutic development of ‘Embodiment-Projection-Role’ system. As a fictional hero in ‘play in the play’, male slave tries to fundamental transportation to freeman, but this is confirmed as dangerous trial to death. Dan-jong become to counselee, and he finally find enlightenment to true recognition through puppet playing that was proposed by male and female slaves. And wooden donkey helps this process thoroughly by reveals her emotion positively. Their road to Yeong-woel have been set on the round floor, and this round-shaped shadow take a function of ritual space that is able to find enlightenment and to reach resurrection. As a result, this work let spectators experience ultimate recognition about true meaning of freedom and suppression.

I. 들어가며
II. 외부극(outer play)의 인물들에 대한 연극치료 - 조당전과 김시향
III. 내부극(inner play)의 인물들에 대한 연극치료 - 남녀종과 단종
IV. 공간과 도구를 통한 치료 - 원(圓)과 당나귀
V. 나가며 - 관객은 어떻게 치료되는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