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기존의 한.불 사전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와 한계 분석
Analyse des besoins des apprenants et des limites des dictionnaires bilingues coréen-francçis existants
허진영 ( Heo Jin Yeong )
프랑스어문교육 vol. 11 87-119(33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1137033

빠리에서 불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프랑스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기존 한.불사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요구를 살펴보고, 기존의 한.불사전의 문제점을 제기해 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불사전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한.불사전에 대한 한국 학생들(9%)의 만족도는 빈약한 반면 한.불사전이 독해사전의 역할을 하고 있는 프랑스 학생들(61.5%)에게는 어느 정도 만족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불사전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한국 학생들에 비해(17%), 프랑스 학생들(82.1%)이 필요성을 더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불사전의 참조도에 대해서는 한국 학생들(97%)과 프랑스 학생들(94.9%) 대다수가 참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찾으려는 단어가 사전에 없을 경우 한국 학생들(39.3%)과 프랑스 학생들(39.7%)은 다른 사전들을 참조하는 것으로나타났다. 한.불사전을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하느냐 하는 질문에는 한국 학생들(35.8%)은 작문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프랑스 학생들(30.9%)은 단어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한.불사전의 머리말과 일러두기를 읽어보는가 하는 질문에 한국 학생들(69%)과 프랑스 학생들(74%) 대부분이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프랑스 학생들이 그것들을 읽어보지 않는 이유로는 한국어로 설명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한.불사전 사용법을 배운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국 학생들(94%) 대부분이 배운적이 없다고 응답했고, 소수의 학생들(4%)만이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배운적이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사전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프랑스의 고등학교에서는 사전교육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 수 정도의 학생들(57.1%)은 대학교에서 사전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단어 옆에 있는 한자를 확인하는가 하는 질문에 한국 학생들(69%)은 동음이의어에 대한 혼동을 막기 위해 확인하고 있으며, 프랑스 학생들(66.7%)은 복수전공(예를 들면, 한국어-중국어, 한국어-일본어)을 하는 경우에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불사전의 부록이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는가에 대한 질문에 부록내용의 빈약성 때문에 한국학생들(66%)과 프랑스 학생들(76.9%)은 부록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불사전에 대해 한국 학생들은 다양하고 적절한 예문들의 필요, 동의어들과 뉘앙스의 설명, 어휘의 풍부함, 불어와 비교하기 위한 영어, 고유명사와 지명, 예절 표현과 친숙한 표현들의 구분, 실질적인 어휘 사용, 기술용어가 들어간 전문용어 사전 필요, 제기된 숙어의 재분류, 동의어와 반의어 동시 기재, 도표와 삽화, 실질적 대화, 내용의 정확성, 일상 생활에 쓰이는 정확한 표현들을 첨가하고 싶은 부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반면에 프랑스 학생들은 고유명사들의 목차, 영어에서 채택된 현대 단어들, 더 많은 한자들, 더 많은 예문들, 관용어의 예문들, 구어의 관용 표현들을 포함한 항목, 불어로 머리말과 부록의 설명, 사전을 제작하기 위한 한국인, 프랑스인의 긴밀한 협력, 한국어 동사 변화, 여러 동의어의 선택문제, 기본문법, 더 많은 번역, 동의어의 표시, 한국어와 불어의 표현들, 약어, 단어들의 문법적 성격 등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기존 한.불사전들의 문제점을 크게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구조로 나누어 살펴보면 거시적 구조에는 표제어의 선택, 표제어의 단락 구성, 다의어, 동음이의어, 동의어의 표제어 분류의 문제를 다루었고, 미시적 구조에서는 발음의 부재, 표제어의 문법적 성격, 외국어에서 차용된 본래의 단어의 기재, 관사와 성의 기재, 복수형태의 표시문제, 언어의 수준표시, 의미의 뉘앙스의 구분, 실질적이고 적절한 예문, 동사구의 문제 등을 구체화 하였다. 학습자들의 진정한 요구를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는 새로운 한.불사전이 편찬되기를 기대해 본다.

Ⅰ. Introduction
Ⅱ. Enquete sur les dictionnaires bilingues coreen-français auprès des étudiants coréens apprenant le français et des étudiants français apprenant le coréen à Paris
Ⅲ. Problématique des dictionnaires bilingues coréen-francais
Ⅳ. Conclu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