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기업교육에서 ARCS모형을 적용한 게임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파악
Developing and Validating a Game-Based Training Program Based on ARCS Model: A Case of an Insurance Company
권기성 ( Gi-sung Kwon ) , 김민정 ( Min-jeong Kim )
DOI 10.46260/KSLP.22.2.2
UCI I410-ECN-0102-2021-300-001135285
* This article cannot be purchased.

기업은 환경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창의적인 사고능력이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재를 확보하고 유지, 양성하는 것이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될 것이며 그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험회사 교육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의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보험회사 영업팀장급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Keller의 ARCS모형을 적용하여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것이 영업팀장의 신입설계사의 리크루트라는 직무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또한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학습자 학습동기와 교육목표 달성도 관점에서 검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는 성인학습자의 특징을 토대로 ARCS 이론에 기반을 두고 게임기반 학습을 설계하였다. ADDIE 절차를 통해 개발된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H 생명보험회사 영업팀장급 보험설계사 200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효과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학습동기,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4개 하위 요소에서 그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비해 후에 유의미하게 높은 학습동기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학습자의 배경변인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교수목표 달성 효과측면에서도 도전, 자신감, 팀 단합, 몰입/집중의 4가지 하위 요소에 골고루 학습자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험회사의 보험설계사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도인 게임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고 학습목표를 도달하는데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companies have been striving to foster competent people who can respond quickly to changes in society. These efforts in the HRD area are appeared as changes in various training methods. This trend of change is also seen in insurance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ame-based training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To promote learner motivation, Keller’s ARCS model was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game-based training program. The development of game-based training program was systematically carried out through the ADDIE process. For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game-based training program, 200 sales manager of H insurance company has been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game-based education programs have increased sales managers’ interest in education programs,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game-based programs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sales managers’ sense of challenge, confidence, team integration and commi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me-based tracking programs can be a useful training method for adult learners’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게임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Ⅳ.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화: 효과성 평가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