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토끼전> 토별문답 대목의 인물 전고(典故)의 활용과 서사적 기능
A Study on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quotations of historical figures in the Question and Answer of Rabbits and Byeoljubu in Toggi-jeon
정보배 ( Jeong¸ Bobae )
고소설연구 vol. 49 219-251(33pages)
DOI 10.23836/kornov.2020.49.219
UCI I410-ECN-0102-2021-800-001135215

우리 고전 서사문학 전반에 중국의 역사 인물 전고(典故)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판소리계 소설 역시 마찬가지이다. 본고는 <토끼전〉 ‘토별문답’ 대목에 활용된 인물 전고가 인물의 심리나 서사 전개와 긴밀히 결합하는 양상에 주목하여, 그 서사적 기능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토별문답(鬼靈問答)’ 대목은 별주부와 토끼가 처음 만나 대화를 나누고, 별주부의 언변에 토끼가 유혹되어 수궁으로 가기까지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서사 전개에 핵심적인 내용으로, 본 간 차이는 다른 대목에 비해 적다 판소리계 소설에서 한문 어구나 전고가 나열을 통한 장면 확장, 익숙한 표현을 통한 내용 전달의 목적에 부응해 왔기에, 독서물〈토끼전〉에서 이 대목 인물 전고 또한 창본에 비해 줄어 들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창본에 비해 독서물에서 더욱 다양한 인물 전고가 추가되며, 이들이 인물 심리 및 서사 전개와 더욱 긴밀히 결합하는 양상이 관찰된다. 이는 인물 전고가 단순한 나열을 통한 장면 확대, 수사적 효과 등을 위한 비맥락적 활용 양상이 아닌, 인물의 심리 및 사건 전개와 결속된 맥락적 활용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토끼와 별주부는 역사 속 인물 전고를 각자 주장의 근거로 활용하며, 이를 통해 자신을 과시하거나 숨겨진 욕망을 드러낸다. <토끼전〉이본 계열 중 비교적 후대의 작품들에서 이러한 인물 전고의 맥락적 활용 경향성이 높아짐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두 등장인물 모두 인물 전고를 거짓, 위선, 폭력 등 부정적인 방식으로 활 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고 속 인물의 실제 삶과 작품 속 인물의 실제 욕망이 병치·비교되며 풍자의 효과를 유발한다. 본 대목에서 인물 전고 활용이 단순한 수사적 양념의 기능을 넘어 인물 심리 표현과 서사를 추동하는 데에 일정 부분 기여함이 발견됨으로써, 앞으로 판소리계 소설에 동원된 인물 전고와 여타 고소설 속 전고의 서사적 기능에 새롭게 주목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In Korean classical novels, biographies related to Chinese historical figures are frequently used. This study noted the passage of ‘The Question and Answer of Rabbits and Byeoljubu’ in ‘Toggi-jeon’. This passage utilizes the story of a Chinese historical figure from his point of view, with the rabbit and the Byeoljubu having different desires. In this part, byeoljubu wins a double victory over the rabbit. Byeoljubu showed a successful persuasion by mobilizing not only logic but also emotional elements. Through these precedents and the use of old history, the rabbit and byeoljubu confirmed that they were satirizing the ruling class, the hypocrisy of the time. The precedents and histories they used were consequently being used in negative directions, such as lies, hypocrisy, and violence. This pattern of use of precedent and old history serves as a standard for modem readers to judge the utility value of their work, wtile also providing aesthetic insight into the work.

1. 머리말
2. 이본 간 공통적 내용 구조 및 이본별 인물 전고 활용의 비중
3. 세부 단계별 인물 전고 활용 양상과 성격
4. ‘토별문답’ 대목의 인물 전고 활용 경향과 서사적 기능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