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영웅소설의 운명론과 그 위안 - 자기 확인이 주는 위안의 기능을 중심으로 -
The Fatalism and Consolation in Hero Novels: Focusing on the Function of Self-confirming
조현우 ( Cho¸ Hyunwoo )
고소설연구 vol. 49 41-74(34pages)
DOI 10.23836/kornov.2020.49.41
UCI I410-ECN-0102-2021-800-001135164

이 글에서는 비범한 능력을 가진 천상계의 존재가 적강해 예정된 성공을 얻는 이야기인 영웅소설이 어떻게 봉건적 신분질서 속에서 고통 받던 평민 이하 계층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었는가를 집중적으로 검토했다. 영웅이 삶의 각 국면에서 겪는 사태는 그가 적강할 때부터 이미 정해진 경로에 따라 진행된다. 그런 점에서 영웅소설에 나타나는 천정은 예정론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모든 것이 이미 다 정해져 있다는 예정론의 논리에 따르면, 주체가 현재 하는 선택은 과거에 무엇이 예정되어 있었는가를 결정한다. 선택 자체가 운명이라면, 주체가 무엇을 결정하든 그것은 곧 자신의 운명을 선택하는 일이 된다. 이때 수동적이고 무력해 보였던 운명과 주체의 관계가 역전된다. 이러한 관점은 영웅소설의 운명론에 대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영웅은 지상계 너머의 그 무엇을 추구하지 않는다. 천상계는 그가 지금 여기에서 사는 삶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러한 정당성은 영웅에게 주어진 운명을 선택에 따른 실현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자기 확신으로 변화시킨다. 영웅소설 장르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운명론은 관습적인 설정을 넘어서서 향유층에게 일정한 위무를 제공했다. 이 글에서는 바로 이러한 운명론의 전유로 인해 영웅소설이 평범하게 타고난 독자들에게 운명을 받아들여 자유롭게 살라는 위안의 서사로 기능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또 영웅소설이 주는 위안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재 유행하는 수저론과 비현실적일 정도로 비범한 인물들의 이야기인 슈퍼 히어로 서사의 인기를 함께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영웅소설이나 슈퍼 히어로 서사가 독자에게 위안을 줄 수 있다는 이 글의 주장이 이러한 서사가 언제나 독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나 예정된 궤도대로 사는 영웅의 이야기가 가진 매력이 운명론이 주는 위안의 기능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점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In this article, I explored the reason why Hero Novels could be popular with common peopl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se novels, the hero who came from heaven achieves a big success without difficulty, because everything in his earthly life was predetermined since he fell down from heaven. However, if everything is already decided, what the hero does through his choice in the present decides what was predetermined in the past. If everything the hero does can't escape his fate, it means he chooses his destiny no matter what he chooses. This paradox included in the predestination theory transforms the passiveness included in fatalism into the infinite activeness of the subject. In this article, I argu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newly understand the fatalism of hero novels by actively applying the paradox of predestination. Now the fate given to the hero not only justifies his choices and actions, but also provides him with the sense of self-confirming. The hero novels could be read as a story that provided consolation to a wide range of reader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is sense of self-confirming, I believe the consolation of hero novels provides a certain explanation of why superhero stories are so popular in Korea at present. I don't want to argue that the consolation of hero novels or superhero stories to readers always works positively. However, it needs to be emphasized that the story of a hero who lives according to his naturalbor destiny can provide comfort to those who suffer in reality.

1. 서론
2. 천정론과 ‘앎’의 문제
3. 예정의 역설과 자기 확인의 위안
4. 슈퍼 히어로와 ‘타고남’의 문제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