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지구적 절대 빈곤은 인간의 삶의 존속 자체를 어렵게 만든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도덕적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환경의 수용력에 대한 비관적 전망은 세계적 빈곤을 불가피한 문제로 인식하도록 하였고, 그 해결을 도덕적 의무의 대상에서 제외하기에 이른다. 한편 교통과 수송, 그리고 통신의 발달은 전 지구의 생활 단위를 하나로 만드는 세계화 시대의 문을 열었다. 효과적 이타주의는 이러한 세계화 시대에서 전 지구적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야말로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도덕적 의무임을 주장한다.
21세기에 성년을 맞은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들은 기존의 전통적 사회관습이나 사사로운 감정에 근거한 기부보다는 이성적 사유에 근거한 효과적 이타주의를 수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새롭게 조성된 사이버 환경은 이러한 효과적 이타주의의 촉진에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수 있다. 첫째, 사이버 환경은 효과적으로 선을 극대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사이버 환경 속의 의사소통 방식은 효과적 이타주의의 실천을 위한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자선단체를 거치지 않은 직접 기부가 가능해진다.
Global absolute poverty is a fundamental moral issue in that it makes life difficult for humans to live. But the pessimistic outlook for the Earth's environment degenerates poverty into an inevitable problem, leaving it off the list of moral dutys. Effective altruism, on the other hand, rejects the pessimistic outlook on the earth's environment based on reason and empirical evidence, and defines the poverty problem as a moral dut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brought together the living units of the whole earth. This opened the door to the age of globalization. Now it is possible to help those suffering from absolute poverty in many ways. Therefore, effective altruism ultimately chooses to solve absolute poverty, with the aim of practicing “the most good we can do.”
The People most active in the effective altruism movement tend to be millenials, that is, the first generation to have come of age in the new millennium. The newly created cyber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is effective altruism as follows: First, the cyber environment can serve as a platform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needed to effectively maximize the good. Second, the way of communication in the cyber environment can strengthen motivates for the practice of effective altruism. Third, direct givings without going through charity will be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