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Candidate
북한의 지리적 표시제 인식 및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Geographical Indication in North Korea
김현정 ( Kim Hyunjung )
UCI I410-ECN-0102-2021-000-001134436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지리적 표시제 인식과 관련법 및 현황을 분석하였다. 북한은 이미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개성고려인삼, 백두산 가시오갈피, 고려신덕산샘물, 강서약수, 백두산들쭉술 그리고 평양랭면 이상의 6개 GI 상품을 등록하였다. 향후 북한의 시장 개방 시, 전통상품 및 농업의 보호를 위해 GI의 제도 정비와 관련 상품의 등록 확대가 필요하다. 개혁·개방 초기 북한의 1차 산업 중 농업분야에 대한 지원이 집중될 시기 생산성과 효율성, 농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중요한 제도가 GI라 할 수 있으며, 동 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전통적 노하우와 농업생산품 생산과정의 질적 보호가 유지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Geographical Indication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already registered six GI products at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Kaesong-Koryo-Insam, Paektusan Kasiogalpi, Koryo Sindoksan Saemmul, Kangso Yaksu, Paektusan Tuljiksul, and PyongYang Raengmyon. In the future, when opening the market in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GI system and expand registration of related products to protect traditional products and agriculture. When North Korea begins reforming and opening up,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support for agriculture among the primary industries in North Korea. External support needs to be focused on GI products that can enhance productivity, efficiency and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system, the traditional know-how of North Korea and the quality prot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production process can be maintained.

Ⅰ. 서론
Ⅱ. 북한의 지리적표시제 관련 제도
Ⅲ. 북한의 WIPO 리스본협약 등록 지리적표시 상품 현황
Ⅳ. 북한의 지리적 표시 등록 예상 상품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