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 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참진드기를 채집해서 계절적 분포 조사와 매개체의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천젓기와 천끌기 방법으로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주된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소피참진드기 3종이 채집되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채집비율이 지축동 91%, 울대리 94%, 호원동 98%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의 성숙단계에 따른 계절별 채집비율을 보면 성충의 경우 세 지역 모두 9월에 최고치를 보였고 약충의 경우에는 4월에서 6월 사이에 주로 채집되었다. 유충의 경우에는 9월과 10월에 최고치를 보였다. 채집된 작은소피참진드기 1,158개체를 성숙단계별로 2× OneStep RT-PCR과 nested PCR로 SFTS 바이러스 검사를 한 결과 양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010년 개장 이후 이용객이 늘어나는 북한산 둘레길에서 기후 온난화로 증가가 예상되는 참진드기 매개 질환에 대한 위험분석과 효율적인 예방에 본 조사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seasonal pattern of larvae, nymph, and adult life stages for Haemaphysalis longicornis and the rate of infection with severe fever from the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in ticks collected from 12 sections (Jichukdong), 14 sections (Uldaeri), and 18 sections (Howondong) in Bukhansan dullegil for April-October 2019. Haemaphysalis longicornis ticks have been considered the main vector for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Haemaphysalis flava and Ixodes nipponensis were collected using the dragging and flagging method. The ratios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of the collected ticks were 91% (Jichukdong), 94% (Uldaeri), and 98% (Howondong). Monthly distributional studies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 showed that the adults peaked in September while nymphs were collected more frequently from April through June. The larvae peaked in September and October. SFTS virus detection was performed using 2 × OneStep RT-PCR and nested PCR. On the other hand, no SFTS virus-specific gene was detected in 1,158 ticks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This result provides estimates of the population densities for the life stages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and the associated disease risk in Bukhansan dullegil, where many people have visited since opening in 2010.
Copyright Ⓒ 2020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