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CRS시장, IRS시장, KTB시장, 외환스왑시장, 외환시장 간 동적연계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 Interlinkage among CRS Market, IRS Market, KTB Market, FX Swap Market and Foreign Exchange Market
이명종 ( Myongjong Lee )
금융공학연구 19권 2호 121-151(31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42055

본 연구에서는 통화스왑(CRS)금리, 이자율스왑(IRS)금리, 국채(KTB)금리, 스왑레이트 및 원/달러환율 등 5개 금융시장 가격변수의 일별 시계열을 이용하여 2010.1.1.부터 2019.8.30.까지 3개 기간으로 나누어 금융시장간 연계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간 Ⅰ(2010.1.1.∼2012.1.17.)에서는 5개 가격변수 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장기균형 부재에 따른 차익거래 기회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기간 Ⅱ(2012.1.18.∼2017.9.11.), 기간 Ⅲ(2017.9.12.∼2019.8.30.)에서는 각각 공적분이 존재하며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추정결과 조정계수가 유의적으로 음(-)의 값을 나타내어 장기균형관계가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와 같이 차익거래 기회가 장기간 지속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CRS 금리와 IRS 금리, KTB 금리, 스왑레이트, 원/달러환율 등 여타 변수 간에는 공적분이 존재하며 VECM 추정결과 조정계수도 유의적으로 음(-)을 나타내어 CRS 금리가 조정되면서 2개의 금융시장 간 장기균형관계가 복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RS 시장이 금융시장간 장기균형 회복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그랜져 인과관계 및 충격반응함수 산출 결과, 원/달러환율의 상승은 CRS 금리를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왑레이트, KTB 금리, IRS 금리의 상승은 CRS 금리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분산분해 검정결과, 스왑레이트, 원/달러환율, KTB 금리, IRS 금리 순으로 CRS 금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간 Ⅲ에서는 스왑레이트의 CRS 금리에 대한 Wald test 검정시 단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외환스왑 시장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외환스왑시장과 통화스왑시장 간 재정거래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dynamic interlinkage in regards to financial markets of Currency Swap (“CRS”), Interest Rate Swap (“IRS”), Korean Treasury Bond (“KTB”), Foreign Exchange Swap (“FX Swap”) and Foreign Exchange (“FX”) using daily data among the three periods from January 2010 to August 2019.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integration does not exist among the five price variables during the first period (2010.1.1.∼2012.1.17.), asserting that opportunities of arbitrage trades persist for a long term resulting from absence of long-term equilibrium. Second, in the second (2012.1.18.∼2017.9.11.) and third (2017.9.12.∼2019.8.30.) period, cointegration exists respectively for both periods. This can be interpreted as opportunities or arbitrage trades do not persist long term as it used to in the past. Third, analysis shows cointegration exists between CRS and other variables such as IRS, FX Swap and FX, respectively. Also, long-term equilibrium of two financial markets is restored as CRS is adjusted. Fourth, results of Granger causality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s confirm that increase in FX led to decrease in CRS, while increase in FX swap, KTB, and IRS resulted increase in CRS. Fifth, variance decomposition results show the level of influence on CRS is in the order of FX Swap, FX, KTB, and IRS, from highest to lowest.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이론적인 배경
Ⅳ. 자료와 분석모형
Ⅴ. 실증분석결과
Ⅵ. 강건성 검정
Ⅶ.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