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성과평가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정인 , 문명재
UCI I410-ECN-0102-2021-300-001141109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 이론을 성과평가의 영역에 적용하여, 성과평가가 어떻게 조직구성원의 만족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조직신뢰가 매개요인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관련된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2011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시행한 ‘제1차 공무원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제시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분배·절차·상호작용 공정성 모두 조직헌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만이 직접적인 영향요인임을 확인했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조직신뢰는 분배공정성과 직무만족에 완전매개역할을 하며 분배공정성과 조직헌신에 부분매개역할을 한다. 한편, 절차 공정성은 직무태도에 직접효과만 존재하며,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태도와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조직신뢰를 통한 간접효과도 존재한다. 따라서, 공무원의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성과평가의 공정성 제고와 함께 ‘조직신뢰’를 높일 수 있는 관리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