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프랑스에서의 국제입양 : 한국 어린이의 경우
L'adoption internationale en France : le cas des enfants coréens
이홍 ( Li Hong )
프랑스어문교육 vol. 47 297-326(30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1138909

2013년 프랑스 부모에게 입양된 외국계 어린이는 1343명77)으로, 오늘날 프랑스에서의 입양은 80프로 이상이 국제입양이다. 이는 프랑스 입양아 중 20%만이 프랑스 출신임을 의미한다. 최근 입양 숫자가 명백히 감소78)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 어린이 입양에 있어, 프랑스는 미국과 이탈리아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79). 프랑스 외무부 통계에 따르면, 70년대 말에서 80년대 중반에 걸쳐 프랑스에 입양된 외국인 어린이들 중 많은 수가 한국계 어린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양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평가를 위해, 지난 50년간의 변화를 관찰하기에 앞서, 한국 어린이들의 프랑스로의 입양에 대한 기원을 거슬러 되새겨보고 원인을 밝혀보는 것이다.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랑스로 입양되는 한국 어린이의 수는 2000년대 중반이후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이는 국제입양이 처한 세계적 위기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나 한국과 입양국가에서도 부분적으로나마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랑스와 세계에서의 국제입양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하기 위해 외국계 어린이, 특히 아시아계의 어린이들을 입양하는 프랑스 입양부모의 유형을 대략적으로 묘사하고 이유를 진단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오늘날 프랑스에 입양아 대부분이 평균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결혼한 부부에 의해 입양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대한민국은 더 이상 아시아대륙을 대표하는 입양국가로 여겨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012년에는 4명 그리고 2013년에는 단지 2명의 한국계 어린이만이 프랑스에 입양되었다. 최근 프랑스에 입양된 아시아 어린이들의 대부분은 중국(2013년에 99명)과 베트남(89명) 그리고 태국 출신의 어린이(1명)들이다80). 프랑스에서 한국인 입양아의 숫자가 줄어든 것이 2012년도에 제정된 입양특례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를 증명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숫자는 괄목한 만한 변화이며 이러한 변화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입양된 어린이들을 포기하는 경우라든가 입양 가정을 자의적으로 떠나는 입양아들의 경우와 같이 불행한 입양을 경험한 케이스에도 관심을 가져 보았다. 이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을 연구차원에서 학술적으로 설명할 수 는 없다. 이는 오히려 개인적인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입양아들이 새로운 삶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아이들에게로 전가하는 것은 입양아에 대한 부모로서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동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1. Introduction
2. Les origines des adoptions d'enfants coréens en France
3. L'identité des parents biologiques et adoptifs
4. L'adoption internationale en France aujourd'hui
5. Les causes de la diminution des adoptions d'enfants coréens en France
6. Les échecs
7. Conclusion
Bibliographi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