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포용국가에 대한 행정철학적 고찰: 비동일성 철학과 삶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Rethinking the Inclusive State and Its Philosophical Premises: Focusing on Non-identity and Livability
이문수 ( Lee Moon-soo )
DOI 10.18333/KPAR.54.1.287
UCI I410-ECN-0102-2021-300-001144433

문재인 정부는 가장 중요한 국정과제로서 소득주도 성장과 더불어 포용국가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포용국가의 구체적인 모습이 불분명하고 또한 포용이라는 개념도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단정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누구를 진정으로 포용한다는 것은 그 누구를 나와 모든 면에서 다른 타자로 인정함은 물론 그를 나에게로 동화(동일화)시키지 않고 그 자신의 특수성을 유지한 독특한 존재로 남겨 놓을 때 가능하다는 규범적 판단에서 시작한다. 진정한 포용은 사회적 배제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포용 또는 배제라는 개념을 생산하는 이분법적 인식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면서, 모든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하나의 유일한 존재로 인정해야 가능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논제를 포용에 대한 새로운 사유의 지평을 연 Theodor Adorno의 비동일성 철학과 Judith Butler의 몸과 고통을 강조하는 인간주의적 존재론을 분석하면서 더욱 명확히 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Jacques Derrida의 아포리아 개념을 빌려서 이상적 포용국가는 영원히 미래에 대하여 열려있다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The Moon Jae-in government in South Korea announced the inclusive state, together with an income-led growth policy, as the most important agenda the administration would push forward. The problem, however, is that nobody is quite sure what the inclusive state looks like, nor the precise meaning of the concept of inclusion. This study starts with the normative judgment that the real inclusion pursued by the state should recognize every individual not only as a legitimate member of the state, but more significantly as a distinct entity having his or her unique singularity. In this study, the most troublesome difficulty facing the inclusive state is assumed to reside in the epistemological field of “identity thinking,” which was critically analyzed by Theodor Adorno. Following some post-structural scholars such as Jacques Derrida and Jean-Luc Nancy, this study argues that the inclusive state becomes possible only when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inclusion and exclusion is replaced by a hospitable attitude toward anybody, no matter how strange, singular, and uncommon she or he may be. On the basis of such a theoretically critical reappraisal of the concept of inclusion, this study delves into the humanist ontology of Judith Butler as a way to highlight the obstacles faced by the inclusive state in implementing its policy agenda. Among others, the concept of livability will stand out as the key concep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is sufficiently inclusive or not.

Ⅰ. 머리말
Ⅱ. Theodor Adorno의 동일성적 사유
Ⅲ. Judith Butler의 존재론적 인간주의
Ⅳ. 포용국가로의 시도: 인식의 전환으로부터
Ⅴ. 맺음말: 포용의 아포리아를 극복할 수 있는 포용국가의 모색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