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에서 진성 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하는 데 있다. 심리적 안전 이론, 개인-조직 적합성 이론, 내적동기 이론, 조직 분위기 이론과 같은 다양한 이론들과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틀을 이용하여 진성 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 혁신 지향 조직 분위기의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2,070명의 국가 및 지방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진성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가졌고, 개인-조직 적합성은 진성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매개하였고, 혁신 지향 조직 분위기는 개인-조직 적합성과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성 리더십이 개인-조직 적합성을 통해 혁신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혁신 지향 조직 분위기에 의해 조절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조직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진정성을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진성 리더십과 변화와 혁신을 지향하는 조직 분위기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Drawing from authentic leadership theory, intrinsic motivation theory, organizational climate theory, and psychological capital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novation-driven organizational climat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070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authentic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2) person-organization fi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n addition, innovation-driven organizational climat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indirect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innovative work behavior via person-organization fit was moderated by innovation-driven organizational climate. This study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factors influencing innovative work behavior in the public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