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7.166.244
3.137.166.244
close menu
}
KCI 우수
사회적 공헌의식이 공공부문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Commitment on Public Sector Job Choice
이진우 ( Lee Jin Woo ) , 백승주 ( Baek Seung-ju )
한국행정학보 53권 3호 187-209(23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1144195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 청년들의 사회적 공헌(social commitment)의식이 공공부문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공공부문은 그동안 직업선택동기에서 강조되어온 내재적 동기나 외재적 동기와 차별되는 공직선택동기 요인이 존재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헌의식이 타인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사회적 공헌의식과 내ㆍ외재적 직업선택동기가 공공부문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 구직자 모두에서 사회적 공헌의식이 높을수록 공공부문 취업에 대한 선호가 나타났으며, 현재 취업자 중에서도 공공부문 종사자들의 사회적 공헌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취업이전의 사회적 공헌의식이 실제 공공부문 취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직업에 대한 선호와 실제 취업과는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 취업자들에 대한 사회적 공헌의식 제고와 공공봉사동기를 높일 수 있는 직업훈련 및 채용과정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commitment as one of the job choice motivators in the public sector. Although a large volume of literature has studie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s an other-oriented motivation among incumbent official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SM on public job sector choice at the pre-entry lev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ocial commitment on job sector preference at the pre-entry level and the actual choice of job that they prefered. Using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from the 2005 cohort,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nd job applicants who have high social commitment are more likely to prefer the public sector. It also finds that incumbents have a high level of social commitment. Having a high level of social commitment at the pre-entry level, however, does not have an effect on whether the applicant chooses to work on the private or public sector. Contributions to existing literature and implications are illustra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자료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