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재난 회복탄력성’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 지방정부의 재난 회복탄력성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회복탄력성 및 재난관리에 관한 이론 및 제도에 대한 검토와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재난 회복탄력성은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 그리고 재난취약 요인과 공간요인이라는 요소의 혼합된 산출물로 나타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에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요인들과 재난 회복탄력성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분석은 전국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했으며,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적 공간분석과 공간패널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모형 추정을 통해 공간패널회귀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공간패널회귀모형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 지방정부가 다른 지방정부와 맺고 있는 대외적 네트워크와 지방정부 내 재난대응 기관 그리고 재난분석 및 전달시설이 재난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이론적 논의와 분석결과를 토대로 재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isaster resilience of Korean local government. I analyzed five-year data from 2012 to 2016 using exploratory spatial analysis and spatial panel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ternal network of local governments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has improved the disaster resilience of government. Next, disaster response agencies and disaster analysis and delivery facilities within local governments have improved their disaster resilience.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analysis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disaster resilience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