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9
18.97.9.169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고위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에 대한 이해: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Toward an understanding of political neutrality among senior public servants: A grounded theory approach
김다니 ( Kim Danee ) , 임도빈 ( Im Tobin )
UCI I410-ECN-0102-2021-300-001143976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위공무원이 정치적 중립과 관련하여 어떤 경험을 하고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 지를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정치적 중립의 개념적 혼란을 부분적이나마 해소하고, 고위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고자 한다. 정치적 중립은 오래된 문제다. 그러나 자료에 근거한 이론 정립이 부족했다. 본 연구자는 고위공무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했고,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정치적 중립은 공무원의 행동규범인 것으로 이해되고 있었으며, 공무원들은 재량을 이용하여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다만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위한 의지는 적극적 저항보다는 소극적인 불응을 통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영혼 없는 공무원’ 논의가 심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공무원의 정치성 경험은 인사 관행을 중심으로 불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양적연구를 통해 인과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enior civil servants’ experiences of and reactions to the politicization in Korea. By understanding their perceptions, the study aims two things: to resolve the complexity and ambiguity of the concept ‘political neutrality’ and to construct a theory of political neutrality of senior civil servants. Although it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public administration, political neutrality lacks an evidence-based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e develop a grounded theory of political neutrality. The results show that political neutrality is understood as norms of behavior. Public servants sought to comply with political neutrality by exercising discretion. However, the well-known debate over “soulless public officer” still rises because, in most cases, public servants choose not to respond by passive non-compliance rather than active resistan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oliticization of public officials rises around personnel system. By clearing out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politicization, the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quantitative studies of political neutral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근거이론의 적용과 결과6)
Ⅴ. 선택코딩 및 논의
Ⅵ. 결론
참고 문헌
<부록 1> 패러다임별 하위범주와 진술문 예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