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일제 하 한국인 관료에 대한 차별적 인사관리에 관한 연구: 한·일 판임관 관료의 임용을 중심으로
Japanese Personnel Management of Korean Officials under Colonial Rule: Focusing on the Appointment of Panimkwan Officials
최성은 ( Choi Seongeun ) , 안용식 ( Ahn Yongsik )
UCI I410-ECN-0102-2021-300-001143825

이 연구는 1911년부터 1919년까지의 판임관 임용을 위한 시험에 합격하여 채용된 한·일 관료 1,746명의 임용을 비교·분석하여, 일제의 차별적인 인사관리 행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을 통하여, 1911년부터 1919년까지 시행된 판임관시험은 일제의 식민통치강화를 위한 수단으로써 이용되었기 때문에, 동일한 자격을 가지고 합격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불균형적 인사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논문은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범위와 방법을 설명하였고, 제2장에서는 판임관 개념 및 시험제도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제하 관료임용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이 연구의 분석기준 및 비교기준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 합격자를 대상으로 제2장에서 제시한 분석기준(합격자 및 부임자수, 최초 발령직, 1910년대 사임자, 한·일 고등관 승진자 비교, 군수·경시 비교, 고등관 승진과 동시 퇴직자, 퇴직이후 관직자 비교)을 적용하여 일제의 한·일 관리에 대한 차별적 임용을 밝히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4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사실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언급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1,746 officials who passed the Panimkwan Examination from 1911 to 1919 to understand the discrimination in the official employment of Koreans and Japanes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officials’ careers. The paper is composed of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lays out the study’s purpose, scope, and method. Section two examines the concepts of “Panimkwan” and the various examination systems, and derives the analysis and comparison criteria for the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appointment of official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section three, the characteristics of official employment for Koreans and Japanese are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criteria set out in section two. The last section provides some concluding comments. Why di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employ Koreans as officials? It was because they were not able to exert full influence and control over many provincial areas. Although they had qualifications equal to those of the Japanese, Koreans were discriminated against. In contrast to Japanese officials, they could not be promoted to the principal body, and fewer Koreans than Japanese passed exams. Koreans were only nominal officials, with no authority at all. In this way, the Japanese imperialists deprived Koreans of their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ower.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한국인 관료의 차별대우 분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