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사회구조의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조직과 조직구성원들의 신속하고 유연한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개인의 태도와 행동을 바꿀 수 있는 잡크래프팅의 개념에 초점을 맞출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직의 직업체계가 갖는 독특성을 반영하여 직업가치를 내재적 가치, 외재적 가치, 구조적 가치로 세분화시킨 후 그동안 민간부문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던 잡크래프팅을 공공부문에 적용하여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써 조직미덕을 제시하고, 기관에 대한 미덕, 상사에 대한 미덕, 동료에 대한 미덕으로 나누어 잡크래프팅과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통해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보다 실효성 있고 분별 있는 처방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 모형에 대하여 성별, 세대 간, 입직경로에 따른 차이분석도 함께 실시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공공부문 조직구성원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보다 면밀한 전략적 인적관리를 위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