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및 숙의제도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제도에 참여하는 시민들의 대표성의 한계와, 그에 따른 공적 의사결정의 정당성에 대한 비판이 증가하여왔다. 행정의 다양한 층위와 영역에서 활용되는 참여 및 숙의제도를 통한 공적 의사결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면 이 제도의 대표성 문제를 이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민주주의 행정 제도에서 대표성의 다양한 의미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의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의 대표성의 장단점을 고려한 통합적인 제도 설계 접근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묘사적/통계적 대표성, 반응적/선출적 대표성 등 대표 구성과 책임의 원리에 따른 대표성의 다면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대표성에 대한 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참여 및 숙의제도에서 대표성에 대한 다섯 가지 주요한 비판을 검토하여 그 정당성을 평가하고, 이를 최근 실행되었던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사례에 적용하여 대표성의 실천적인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표성의 체계적 접근과 시민적 연대성에 기반한 대표성 이해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s participatory and deliberative democracy has spread in the practice of public administration, criticism of the limits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participants and the legitimacy of their decisions has also increased. To effectively run participatory and deliberative governance in public administration, the issues of representation and legitimacy should be resolv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ways to understand representation in participatory and deliberative governance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elective and descriptive representation. We first review various types of representation, emphasizing that representation is more than simply electoral. We then review five key criticisms of representation in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argue for an integrated perspective between descriptive and elective representation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Deliberative Poll on nuclear plant construction in South Korea. We conclude by proposing a systemic design of representation that combines descriptive and elective representation, and an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on based on civic republic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