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원자력 관련 위험커뮤니케이션과 위험회피행동의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위험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주로 태도(attitude)에 초점을 두고 있어 사람들이 위험에 대처하는 행동(behavior)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신뢰를 매개변수로 하여 위험커뮤니케이션과 사람들의 위험반응행동(특히 위험회피행동)의 관계를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측정하는 여섯 가지의 문항 중 정보제공자의 소통능력, 정보의 유용성과 이해용이성, 수신자의 능력과 관여가 정부신뢰와 正(+)의 영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원별로 볼 때 심리패러다임 변수는 정부신뢰와 낮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반면 위험커뮤니케이션 변수들은 높은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매개변수인 정부신뢰는 사람들의 위험회피행동에 負(-)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신뢰는 위험커뮤니케이션과 종속변수인 위험회피행동을 효과적으로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gover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communication and people’s risk avoidance behavior. Existing studies related to risk communication focus mainly on attitude toward the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and have not adequately studied people's risk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communication and risk response behavior(especially risk avoidance behavior) using questionnaire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six items measuring risk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usefulness of and ease of obtaining the informa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related to trust in government. Second, psychological paradigm variables have low correlation with trust in government, while risk communication variables are highly related. Third, trust in government as a mediating variable has a negative effect on people’s risk avoidance behavior. Finally, we have confirmed that trust in government effectively mediates risk communication and risk avoidance behavior.